반응형

빡쎈 매크로 투자전략 강의 65

[Index4] 소비: ④ 가계신용(Credit to Households)

시장 민감도 : 높음의   의 : 일반 가계가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빌린 돈이나 외상으로 물품을 구입하고 진 빚을 모두 합한 지표. 개인간의 거래인 사채(私債)는 제외됨발   표 : 한국은행 홈페이지(http://www.bok.or.kr/)발표시기 : 매 분기 종료 후 다음 다음 달 20일 경빈   도 : 분기https://youtu.be/LgAvC2a-uHY 가계신용은 왜 중요한가? 1. 경제학에서 신용(信用)은 거래한 재화의 대가를 앞으로 치를 수 있음을 보이는 능력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외상값, 빚, 급부 따위를 감당할 수 있는 지급 능력을 말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를 거시경제의 중요한 주체인 가계에 적용한 ‘가계신용’은 의미 그대로 가계가 진 빚의 규모로 이해하면 큰 무리가 없습니다. 2. 가계..

[index3] 소비: ③가계지출과 금융시장

시장 민감도 : 높음의   의 : 가계의 소득 중에서 직접세 등의 부분을 제외한 것을 식비, 피복비, 주거비, 광열비 등으로 분할하여 지출하는 것을 나타낸 지표발   표 : 통계청 홈페이지( http://kosis.kr/)발표시기 : 매 분기 종료 후 다음 다음 달 20일 경빈   도 : 분기https://youtu.be/vmBwqD2I4gE 가계지출은 왜 중요한가? 1. 가계지출은 ‘가계의 소득’ 중에서 직접세 등의 부분을 제외한 것을 식비, 피복비, 주거비, 광열비 등으로 분할하여 지출하는 것을 나타낸 지표입니다. 또한 가계지출은 8,700개의 표본가구를 대상으로 가구에서 가계부를 직접 기입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통계청의 분기별 가계동향에 포함되어 있는 지표입니다. 2. 가계지출은 국민소득 계정의 민간..

[index 2] 소비 ② 소매판매액 지수와 금융시장

시장 민감도 : 매우 높음의   의 : 개인 및 소비용 상품을 일반대중에게 판매하는 약 2,500개 표본 사업체(기업체)를 조사하여 지수 형태로 발표발   표 : 통계청 홈페이지( http://kosis.kr/)발표시기 : 매월 20일 경 지난달의 ‘산업활동 동향’ 자료를 통해 발표빈   도 : 월간https://youtu.be/myEIr-A8xOY 소매판매는 왜 중요한가? 1. 소매판매는 소매업분야의 판매동향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소비동향을 비교적 빨리 알 수 있게 만든 지표입니다.  2. 이 지표는 통계청에서 매월 발표하는 산업활동동향에 편제되어 있는데, GDP에 포함되어 있는 민간소비를 기업의 판매 데이터 안에서 미리 찾아 보는 것에 의의가 있다 하겠습니다.  3. 실제보다 1개월 늦게 발표되고 있음..

(Index1) 소비 ① 소비자 동향지수(CSI ; Consumer Sentiment Index )와 금융시장

시장 민감도 : 높음의   의 : 소비자태도지수 또는 소비자 심리지수로 장래의 소비지출 계획이나 경기전망에 대한 소비자들의 설문조사 결과를 지수로 환산해 나타낸 지표발   표 : 한국은행 홈페이지(http://www.bok.or.kr/)발표시기 : 해당월의 수치를 매월 20일경에 발표빈   도 : 월간https://youtu.be/QBpGHsLhIpE?si=Rs8BYN1DDTXWoZDq CSI는 왜 중요한가? 1. CSI는 장래의 소비지출 계획이나 경기전망에 대한 소비자들의 설문조사 결과를 지수로 환산해 나타낸 지표입니다.[1]  2. 이 지수는 최저 0이고 최고 200인데, 예컨대 경기의 경우 0이면 앞으로 경기가 나아질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한명도 없다는 뜻이고 반대로 200이면 경기가 나빠질 것으..

(new)지표를 읽는 기술: ② 이제 경제지표를 ‘분석(analysis)’ 해야 한다

https://youtu.be/j_jU4ig1enQ?si=taBmsCBC1B5ax9bG  우리는 위에서 제시한 각양 각색의 경제지표를 통계발표 기관을 통해서 얻습니다. 이렇게 획득된 경제지표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사실상 경제지표를 가지고 ‘투자에의 응용’이라는 거대한 목표에 도전하기 위해서는 가장 기본적인 경제학 원리인 ‘수요와 공급의 법칙’ 뿐만 아니라 심오한 경제학 이론, 수학, 통계학, 물리학, 철학 등까지 모두 동원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여기서는 뒤편에서 제시되는 경제지표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 최소한으로 가지고 있어야 할 방법론만 간단히 언급하고자 합니다.  ①       경제지표(시계열)의 분해와 계절조정 일반적으로 어떤 양의 관측결과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계열로 정리한 것을 통계계열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