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빡쎈 매크로 투자전략 강의 65

(new)개별 경제지표와 금융의 연결GDP성장률과 금융시장

시장 민감도 : 매우 높음의   의 : “국내생산자가 창출한 재화·용역의 부가가치 총액”을 증가율로 표시한 것으로서 모든 금융시장에서 가장 영향력이 높은 중요한 지표이다.발   표 : 한국은행 홈페이지(http://www.bok.or.kr/)발표시기 : 매 분기 종료 후 다음 달 20일 경빈   도 : 분기, 연간갱   신 : 매 분기 종료 다음 달 ‘추정치’를 발표 한 후 그 다음달에는 ‘수정치’, 그 다음달에는 ‘확정치’를 발표한다https://youtu.be/DAX6v2HvKek GDP성장률은 왜 중요한가? GDP는 경제에서 가장 잘 알려지고 많이 쓰이는 것으로서 총국내생산을 일컫는 용어입니다. 과거에는 GNP라는 지표가 더 많이 쓰이기도 했으나, 세계화가 진전된 근래에는 GDP가 더 자주 쓰이고 ..

(new)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두 가지 경제지표 : GDP와 물가

https://youtu.be/e_jrD6QqsPo투자측면에서 생각해 보면, 우리가 가장 중요시 해야 할 경제지표는 경제성장을 나타내고 있는 ‘GDP’와 인플레이션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는 ‘물가’입니다. 궁극적으로는 대부분의 경제지표가 GDP와 물가를 설명해 주는 보조지표에 지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우리가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산도 이 두 지표를 바탕으로 고평가 및 저평가 여부를 판가름 할 수 있고, 제법 먼 미래의 가격을 알아내는 데에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구체적으로는 GDP와 물가가 다음과 같이 투자에 적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1. 주식은 기업이익을 가격에 반영하고 있는데, GDP는 다름아닌 기업이익의 합산이다. 물가는 기업이익의 크기가 건전한 것인가의 여부를 판가름한다.2.  ..

(new) 경제지표를 종류별로 나누어 보자

https://youtu.be/HYfbsJDS3q0?si=AuiXytGm3wVK16mJ투자를 위해 우리가 흔히 접하는 경제지표는 대략 4가지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있습니다. 각각의 경제지표가 어느 범주에 속하고 어떠한 특성을 갖고 있는지를 선험적으로 알아 둔다면, 우리가 목표로 하고 있는 경제지표의 ‘이해와 해석’ 및 ‘투자에의 응용’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①  금액 및 지수로 표시되는 경제지표 가공되지 않고 조사된 그대로 발표되는 대부분의 원시적인 지표들이 이 범주에 속하기 때문에, 이 자체만을 가지고는 경제활동의 움직임이나 변화를 파악하기가 힘듭니다. 하지만 규모를 파악하거나 장기적인 추세를 보고자 할 때 이 범주의 지표를 그대로 사용하면 유용할 경우가 많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발표된 지..

(new)왜 경제지표를 이해하고 해석해야 하는가?

https://youtu.be/fNccp3bXKlU?si=qExMCJSSlL2wN7Ue 경제지표(經濟指標, economic indicator)는 경제 활동의 상태를 알아내기 위하여 특정 경제 현상을 통계 수치로 나타낸 것입니다. 그런데 전 세계에서 매일 쏟아져 나오는 경제지표들을 보면 그 종류를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로 많으며 또한 이해하기도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위 경제활동을 한다고 하는 사람들은 이 경제지표를 이해하고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매일 매일 머리를 싸매고 부단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더군다나 이러한 경제지표를 해석하고 의미를 심어주는 일만 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도 있습니다.그렇다면 사람들은 경제지표를 이해하고 해석하기 위해 왜 그토록 많은 시간과 정열을 바쳐야만 하는 것..

투자전략40. 은행업주가는 장단기 금리차의 흐름에 의해 결정된다

은행업주가는 장단기 금리차의 흐름에 의해 결정된다 시장민감도 : 높음 사용 지표 : ① 한국 국고3년 금리 ② 한국 CD금리(91일물) ③ 은행업종 주가지수 데이터 출처 : 한국은행 한국은행 ECOS(http://ecos.bok.or.kr), 증권전산 사용 빈도 : 일간, 주간, 월간 (지표 발표시 마다 전략을 수정) 전략 응용 : 주식투자전략, 은행업종 비중 조정 Macro Stratege 1. 일반적으로 은행의 수익은 기본적으로 예대마진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특히 우리나라 은행들은 다른 나라에 비해 총수익에서 예대마진의 비중이 높은 축에 속합니다. 즉 우리나라 은행수익의 대부분은 대출로 인해 벌어들이는 이자수익과 예금으로 인해 지출되는 이자비용의 차이로 정해지게 되는 것입니다. 2. 일반적으로 예대마..

투자전략39. 은행 대출의 상대강도가 높아지면 금리는 상승한다

시장민감도 : 높음 사용 지표 : ① 은행 대출증가율 ② 은행 예금증가율 ③ 한국 CD금리(91일물) 데이터 출처 : 한국은행 ECOS(http://ecos.bok.or.kr) 사용 빈도 : 월간 (지표 발표시 마다 전략을 수정) 전략 응용 : 채권투자전략, 안전자산과 위험자산의 비중조정 Macro Stratege 1. 통상적으로 한 국가에서 금리수준은 자금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자금의 공급이 많아지면 금리는 내려가게 되고 자금의 수요가 많아지면 돈을 필요로 하는 주체들이 많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금리는 상승하게 됩니다. 이 때 금리는 돈의 가격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한결 편해질 것 같습니다. 2. 우리나라의 금융산업 구조를 살펴 보면 제2금융권의 역할이 커지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은행의..

투자전략38. 금융시장 위험이 커지면 달러화는 상승한다

금융시장 위험이 커지면 달러화는 상승한다 시장민감도 : 높음 사용 지표 : ① VIX지수 ② 달러화 지수 데이터 출처 : FRED(http://research.stlouisfed.org/) 사용 빈도 : 일간, 주가, 월간 (지표 발표시 마다 전략을 수정) 전략 응용 : 채권 및 외환투자전략, 위험자산 및 안전자산의 비중 조정 Macro Stratege 1. 글로벌 금융시장 전체의 위험을 나타내는 지표 중에 VIX지수라는 것이 있습니다. VIX지수는 미국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거래되는 S&P500주가지수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지표가 상승하는 것은 투자자들이 변동성 확대에 대한 기대를 확대시킨다는 의미인데, 변동성 확대는 직접적으로 금융위험이 커진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

투자전략37. 미국 '산업생산증가율+물가'가 상승하면 금리는 상승한다

미국 '산업생산증가율+물가'가 상승하면 금리는 상승한다 시장민감도 : 보통 사용 지표 : ① 미국 산업생산 ② 미국 소비자물가 ③ 미국 국채10년 금리 데이터 출처 : FRED(http://research.stlouisfed.org/) 사용 빈도 : 월간 (지표 발표시 마다 전략을 수정) 전략 응용 : 채권투자전략, 위험자산 및 안전자산의 비중 조정 Macro Stratege 1. 일반적으로 시장금리 수준은 실질성장률과 물가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미국에서의 금리흐름을 추적해 보면 실질성장률 대신 산업생산을 사용하여도 금리흐름의 방향성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2.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월간으로 발표되는 산업생산이 분기지표인 실질성장률의 대용치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산업생산이 증가한..

투자전략36. 중국 통화증가율의 반등은 원자재가격의 상승을 가져온다

중국 통화증가율의 반등은 원자재가격의 상승을 가져온다 시장민감도 : 높음 사용 지표 : ① 중국 M2증가율 ② CRB원자재지수 데이터 출처 : FRED(http://research.stlouisfed.org/) 사용 빈도 : 월간 (지표 발표시 마다 전략을 수정) 전략 응용 : 원자재투자전략, 위험자산 및 안전자산의 비중 조정 Macro Stratege 1.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중국의 성장세는 다소 약화되고 있는 측면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선진국들과 비교해 보면 중국은 상대적으로 높은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고, 경제구조도 '수출주도형'에서 '내수주도형'으로 서서히 변모되고 있습니다. 2. 내수가 중국성장을 이끌어 가는 촉매제가 되고 있고, 왕성한 중국의 국내수요가 이제는 전세계 원자재 가격의 ..

투자전략35. 국내신용위험은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상관관계가 높다

국내신용위험은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상관관계가 높다 시장민감도 : 높음 사용 지표 : ① 회사채 BBB금리 ② 국고채 3년 금리 ③ 소비자물가 데이터 출처 : 한국은행 ECOS(http://ecos.bok.or.kr) 사용 빈도 : 월간 (지표 발표시 마다 전략을 수정) 전략 응용 : 채권투자전략, 위험자산 및 안전자산의 비중 조정 Macro Stratege 1. 국내 신용위험을 나타내는 지표로서는 신용스프레드, CDS프리미엄 등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신용위험과 상관관계가 높은 경제지표를 찾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신용위험지표가 형성되는 시장이 그리 활성화 되지 않고 있다는 점도 하나의 이유가 될 것 같습니다. 2.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신용위험을 증가시키는 주체가 주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