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플레이션 4

투자전략21. 금리와 주가의 역학관계를 고려하자

금리와 주가의 역학관계를 고려하자 시장민감도 : 높음 사용 지표 : ① KOSPI주가지수 ② 국고3년물 금리 데이터 출처 : 한국은행 ECOS(http://ecos.bok.or.kr), 통계청(http://kosis.kr) 사용 빈도 : 주간 (주간 지표 발표시 마다 전략을 수정), 일간 전략에도 응용 가능 전략 응용 :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의 비중 조정 Macro Stratege 1. 금리와 주가 흐름이 상호적으로 역의 상관관계를 보이느냐, 아니면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느냐 하는 것은 오래전 부터 논란이 되어 왔습니다. 실상 두 지표는 모두 시중자금 및 실물경제지표의 흐름에 의해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반대로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또한 시중자금 및 경제지표를 매개로 하여 이 두 지표는 서로간에 영향을..

고용 및 물가: ④ 소비자물가(CPI)

시장 민감도 : 매우 높음 의 의 : 소비자가 구매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나타내는 지수 발 표 : 통계청 홈페이지( http://kosis.kr/) 발표시기 : 매월 초 지난달의 ‘소비자물가 동향’ 자료를 통해 발표 빈 도 : 월간 소비자물가는 왜 중요한가? 1. 물가란 한 국가의 국민들이 생활해 나가는 데 필요한 모든 소비재 및 생산재에 대한 전반적인 가격수준을 나타낸 지표입니다. 물가지수는 이러한 물가의 움직임을 종합적으로 알아볼 수 있도록 기준시점을 100으로 놓고 비교시점의 물가수준을 상대적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2. 소비자의 구매가격을 나타내는 소비자물가지수는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입니다. 일상 소비생활에 필요한 상품 및 서비스를 구입하기 위해..

인플레이션에 대한 대응, 지금은 금리인상 보다 재정축소가 더 중요하다

주요국 기준금리가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인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금년 2분기 들어 인플레이션과 자산버블 압력이 다시 커지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가 기준금리 수준이 헤드라인 물가 수준을 넘어서며 실질금리가 플러스(+)권으로 진입하고 있지만, 기대했던 경기침체는 일어나지 않고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잡히고 있지 않는 것이다. 미국 +1.25%, 유로존 -2.10%, 일본 -3.3%, 영국 -3.7%, 캐나다 +0.35%, 호주 -2.9%, 스위스 -0.45%, 인도+2.25%, 인도네시아 2.25%, 한국 0.20% 글로벌 인플레이션 재 반등의 원인 이처럼 각국의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 반등 압력이 다시 커지고 있는 데에는 몇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주요국의 산업구조가 제조업 위주..

소비 ① 소비자 동향지수(CSI ; Consumer Sentiment Index )

시장 민감도 : 높음 의 의 : 소비자태도지수 또는 소비자 심리지수로 장래의 소비지출 계획이나 경기전망에 대한 소비자들의 설문조사 결과를 지수로 환산해 나타낸 지표 발 표 : 한국은행 홈페이지(http://www.bok.or.kr/) 발표시기 : 해당월의 수치를 매월 20일경에 발표 빈 도 : 월간 CSI는 왜 중요한가? 1. CSI는 장래의 소비지출 계획이나 경기전망에 대한 소비자들의 설문조사 결과를 지수로 환산해 나타낸 지표입니다.[1] 2. 이 지수는 최저 0이고 최고 200인데, 예컨대 경기의 경우 0이면 앞으로 경기가 나아질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한명도 없다는 뜻이고 반대로 200이면 경기가 나빠질 것으로 보는 사람이 한명도 없다는 의미입니다. 3. 따라서 100은 양쪽 응답이 똑같다는 뜻입니..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