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리인상 5

7월 FOMC결과 및 주요 사항 점검

FOMC 결과 및 주요 사항 미국연방준비제도는 이번회의를 통해서 정책금리를 5.25~5.50%로 25bp인상하였다. 이는 시장의 예상에 부합하는 결과로 연준은 지난 6월 동결(Skip)이후 다시 긴축기조를 이어가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아울러 이번 금리인상으로 연준의 정책금리는 지난 2001년 이후 22년만에 최고치 수준을 기록하게 되었다. 금리인상의 배경으로는 미국의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의 결과를 통해 인플레이션의 둔화가 확인되었지만, 고용지표와 기업경기가 여전히 견조한 모습을 보이면서 수요측면에서의 상방압력이 지속될수 있다는 점이 연준의 긴축강화(추가인상)로 이어졌다는 판단이다. 한편 7월성명서를 살펴 보면 ‘최근 지표들은 경제활동이 보통의 속도로 확장하고 있음을 ..

미국 7월 FOMC 예상 및 주요 요인 점검

Fed금리 25bp 추가 인상 예상, 연준의 정책 스탠스 지난 6월 FOMC에서 연준은 금리인상을 멈추었지만, 물가 재 반등 압력과 경기 회복으로 추가 금리인상을 경고한 만큼 이번 7월 FOMC(26~27일)에서 연준은 기준금리를 25bp 인상하여 연준 목표금리는 5.25~5.50%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6월까지 발표된 헤드라인 물가들이 비교적 빠르게 하락하였지만, 하반기 들어 고용 회복세가 이어지고 ISM지수가 반등하는 등 기업경기가 살아나고 미시간대 소비자신뢰지수의 기대물가가 반등하는 등 추가 금리인상의 환경이 조성되었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여기에 더해 주택시장이 반등할 조점을 보이고 주가가 사상 최고치에 다시 근접하고, 비트코인도 30000$를 넘나드는 등 자산버블의 기운마저 감돌고 있다. 연준..

미국 금리 인상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지 못하는 이유

여기에 대해 좀 더 일찍 문제제기를 한 필자(본인)의 글이 있어 먼저 링크를 걸어둔다. https://sandol20.tistory.com/28 인플레이션에 대한 대응, 지금은 금리인상 보다 재정축소가 더 중요하다주요국 기준금리가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인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금년 2분기 들어 인플레이션과 자산버블 압력이 다시 커지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가 기준금리 수준이 헤드라sandol20.tistory.com 링크된 글에서 제기한 인플레이션이 장기화 되고 있는 핵심원인을 간추려 보면 다음과 같이 2가지로 정리 될 수 있다. 첫째, 선진국의 산업구조가 제조업 위주에서 서비스업 중심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둘째, 주요국 금리인상이 지속되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유동성을 풀거나 재정지출 확대..

인플레이션에 대한 대응, 지금은 금리인상 보다 재정축소가 더 중요하다

주요국 기준금리가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인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금년 2분기 들어 인플레이션과 자산버블 압력이 다시 커지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가 기준금리 수준이 헤드라인 물가 수준을 넘어서며 실질금리가 플러스(+)권으로 진입하고 있지만, 기대했던 경기침체는 일어나지 않고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잡히고 있지 않는 것이다. 미국 +1.25%, 유로존 -2.10%, 일본 -3.3%, 영국 -3.7%, 캐나다 +0.35%, 호주 -2.9%, 스위스 -0.45%, 인도+2.25%, 인도네시아 2.25%, 한국 0.20% 글로벌 인플레이션 재 반등의 원인 이처럼 각국의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 반등 압력이 다시 커지고 있는 데에는 몇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주요국의 산업구조가 제조업 위주..

미국 5월 고용지표와 6월 FOMC 시사점

미국 5월 고용지표 요약연준의 기준금리 수준이 5.25%까지 인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5월 고용지표는 시장의 예상을 뛰어 넘는 호조세를 나타냈다. 세부지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을 나타냈다.비농업고용: 33.9만명 증가하면서 전월치(+29.4만) 및 14개월연속시장예상치(+19.5만) 상회 – 전문·기업서비스(+6.4만), 정부고용(+5.6만), 보건의료(+5.2만), 레저·숙박업(+4.8만) 등의 강세 지속 – 3~4월 고용은 이전 발표치 대비 9.3만명 상향 조정(3월16.5만→21.7만명,4월25.3만→29.4만명) 실업률: 3.7%(전월 3.4%, 예상 3.5%)로 `20년 침체기 이후 최대 월간 상승폭(+0.3%p) 기록경제활동참가율은 62.6%로 전월(전월62.6%, 예상62.6%)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