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기둔화 5

트럼프 상호관세 행정명령 주요 내용 및 금융시장 영향

미국 상호관세 주요 내용 트럼프 대통령은 4.2일 모든 교역국가에 대해 10% 보 관세(4.5일 발효)와 더불어 대미 무역흑자 규모가 큰 개별 국가에 대한 상호관세를 행정명령 형태로 부과하였다(4.9일 발효). 상호관세는 캐나다와 멕시코를 제외하였지만, 60여개국에 대해 부과되었다.상호관세 형태로만 부과될 것이라는 당초 예상과 달리 상호관세 및 보편관세 형태가 혼합된 모습이며, 중복 부과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4/2일 합산 관세율중국34스위스31싱가포르10EU20인도네시아32이스라엘17베트남46말레이시아24필리핀17대만32캄보디아49칠레10일본24영국10호주10인도26남아공30파키스탄29한국25브라질10터키10태국36방글라데시37스리랑카44금융시장 영향금융시장에서는 국가별 관세율이 예상보다..

트럼프 버블의 해소 과정, 드디어 시작되다

트럼프 버블?지난해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 당선을 전후로 생성되기 시작한 트럼프 버블이 2월 하순부터 해소되기 시작했다. 트럼프 버블은 비트코인을 비롯한 코인시장과 테크 관련 주식에서 뚜렷하게 형성되기 시작되었다, 또한 글로벌 지정학적 리스크와 미국 우위의 관세정책으로 가중된 달러 강세도 큰 역할을 했다. 더불어 안전자산 선호와 미국 우위 정책으로 인해 미국으로 몰려든 글로벌 유동성도 트럼프 버블을 장기화 시키는 데에 크게 기여를 했다.https://sandol20.tistory.com/162 이른바 2016년 트럼프 텐트럼의 재현인가?빅컷 이후 미국채 금리 급등 2016년과 비슷한 트럼프 텐트럼이 재현되고 있는 것인가? 9월 FOMC에서 연준이 빅컷(50bp)을 단행한 이후 조금씩 오르던 시장금리(미국채..

'25년 1월 금통위, 이번에도 금리를 내릴 수 있을까?

https://youtu.be/PGa8eaY32tM 1월 금통위 예상이미 지난해 10월과 11월 연속해서 두 번의 금리인하를 단행한 금통위가 25년 새해 첫번째 회의에서도 금리를 내릴 수 있을까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트럼프가 대통령으로 당선되고 국내에서 정치적 불안 및 사회적 참사가 발생하면서 국내 내수를 중심으로 실물경기가 빠르게 둔화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에도 금리를 내려야 한다는 의견과 외환시장이 불안하기 때문에 시장이 다소 안정될 수 있는 2월에 금리인하를 단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습니다. 두 의견 모두 타당한 측면이 있으나, 소규모 개방경제인 한국경제로서는 외환시장 충격이 더 크고 오랫동안 갈 수 있기 때문에 금리인하를 너무 서두르면 안 된다는 입장이 다..

미국 7월 고용지표와 시장 충격에 대한 해석

미국 7월 고용동향비농업 고용자수는 +11.4만명으로 시장예상(17.5만명)을 큰 폭 하회하고 3개월 연속 둔화 실업률은 전월 4.1%에서 4.3%로 상승하여 실업률의 3개월 이동평균이 지난 12개월 동안의 최저치보다 최소 0.5%p상승할때 발동되는 SahmRule이 발동(국제금융센터 인용)인플레이션의 예고지표라고 할 수 있는 평균 시간당 임금은 전월비 기준 0.2% 상승하여 전월의 0.3%와 시장예상치 0.3%를 모두 하회, 전년동월비 기준으로는 3.6%를 기록하여 전월의 3.9%와 시장예상치 3.7%를 모두 하회고용률은 60.0%를 기록하여 전월의 60.1% 보다는 둔화되었으나, 아직까지는 100개월 평균치 59.6%는 상회금융시장 시사점전반적으로 이전까지의 고용이 워낙 좋았기 때문에 그렇지 고용이 ..

투자전략34. ISM제조업지수가 55를 하회하면 미국의 금리인상은 종결된다

ISM제조업지수가 55를 하회하면 미국의 금리인상은 종결된다 시장민감도 : 높음 사용 지표 : ① 미국 ISM제조업지수 ② 미국 Fed금리(정책금리) 데이터 출처 : FRED(http://research.stlouisfed.org/) 사용 빈도 : 월간 (지표 발표시 마다 전략을 수정) 전략 응용 : 채권투자전략, 위험자산 및 안전자산의 비중 조정 Macro Stratege 1. ISM제조업 지수는 미국기업의 심리를 나타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미국경제와 세계경제의 바로미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역사적 자료를 보면 글로벌 경제의 총 지휘관이라고 자처하고 있는 FRB도 금리정책을 단행함에 있어서 ISM제조업 지수를 가장 중요한 지표로 여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2. 역사적으로 볼 때 미국 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