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트럼프 6

미란, 우리는 더 이상 트리핀의 세계에 있지 않다

[원제] Miran, we're not in Triffin land anymore Michael Bordo Robert N McCauley / 7 Apr 2025미국 경제자문위원회 위원장인 스티븐 미란은 우리가 '트리핀의 세계'에 살고 있으며, 이는 외국 공무원의 달러 축적이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를 초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주장합니다. 이 칼럼은 지난 10년 동안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가 지속되어 왔으며, 외국 공무원의 미국 투자 유입은 거의 고갈되었다고 주장합니다. 만약 우리가 트리핀 땅에 살았다면, 이제는 그렇지 않을 것입니다. 국제 통화 및 금융 시스템의 문제점을 다시 살펴봅시다. 미국 경제자문위원회 위원장인 스티븐 미란은 우리가 '트리핀의 세계'에 살고 있다고 주장합니다(허드슨 베이 캐피탈 20..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경제 정책 분석과 스티븐 미란 보고서

주) AI를 이용한 번역과 기사 등을 중심으로 요약 정리했습니다. 내용이나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추진 중인 초기 경제 정책의 이론적 기초를 이루는 핵심 보고서를 소개합니다. 현재 트럼프 행정부의 공격적인 관세 정책은 이 보고서의 내용을 바탕으로 시행되고 있어 월가와 의회 보좌관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스티븐 미란 보고서의 주요 내용: 미국 중심의 글로벌 무역 질서 재편 전략 달러 약세 정책관세의 공격적인 사용무역 협상에서 군사적 보호 활용미국 금 보유량 재평가미국 중심의 글로벌 무역 질서 재편 원문 보기https://www.hudsonbaycapital.com/documents/FG/hudsonbay/research/638199_A_Users_Guide_to_Restr..

미국 12월 FOMC preview

이번 주 목요일 새벽(한국시간)에 발표되는  미 연준의 올해 마지막 FOMC 회의에서는 0.25%포인트 금리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최근 발표된 고용지표에서 실업률이 상승하고 고용률이 떨어지는 등 미국경제의 불확실성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반면 트럼프가 취임한 이후에는 통화정책 기조에 변화가 생길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의 미국우선 정책이 미국경제의 양호한 흐름을 좀 더 이끌 수 있고, 비미국에 대한 고율관세 정책은 미국의 수입물가를 상승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실물경제와 물가 측면에서 모두 상방 요인이 생성되고 있는 것이다.따라서 이번에 금리인하를 하더라도 내년의 통화정책 기조에는 큰 변화가 생길 것으로 예상된다. 내리는 속도를 조절한다든지 최종점을 상향 조정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

11월 금통위 깜짝 인하의 배경 및 영향

한국은행 11월 금통위에서 시장의 메인 컨센서스와는 달리 기준금리를 3.25에서 3.0%로 25bp인하 하였다. 그야말로 깜짝인하라고 할 수 있다.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문구 변경사항 등을 통해 그 배경을 찾아 보면 다음과 같다. 1. 트럼프 대통령 당선으로 인한 수출 둔화 우려에 국내 경제성장의 하방 압력이 증대 - 경기 하방리스크에 대한 비중 확대2. 세계경제 부문에서 트럼프 신정부 경제정책에 대한 불확실성 추가 3. 국내 2024년과 2025년 경제성장률 전망치 각각 0.2%p 하향 조정 (2024년 2.4%->2.2%, 2025년 2.2%->1.9%) 2024년 2.2% 성장률 달성 위해서는 4분기 성장률 최소 QoQ 0.24% (YoY 1.65%) 필요4. 물가상승률에 대해서는 환율상..

트럼프 당선(레드 스윕)과 경제 및 금융시장 영향

미국 트럼프의 압승, 의회도 공화당의 승리 유력11월 5일과 6일 치러진 미국 47대 대통령 선거에서 박빙으로 예상된 것과는 다르게 공화당의 트럼프 후보가 압승했다. 트럼프 후보는 7일 오전까지 선거인단 538석 중 298석을 확보하여 사실상 대통령에 당선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의회 선거에서도 상원은 공화당이 52석을 확보하여 민주당 44석을 앞섰으며, 하원에서도 공화당이 206석을 확보하여 민주당 191석에 15석 우위이다. 하원은 아직 과반 의석인 218석을 확보하지 못했지만 미 주요 언론에서는 공화당의 승리 가능성을 90%로 보고 있다. 2016년 이후 8년 만에 공화당이 대통령, 상원, 하원을 모두 휩쓰는 레드 스윕이 유력하다. 거시경제, 더 강력해질 트럼프와 공화당의 정책, 성장률과 물가상승률 ..

이른바 2016년 트럼프 텐트럼의 재현인가?

빅컷 이후 미국채 금리 급등 2016년과 비슷한 트럼프 텐트럼이 재현되고 있는 것인가? 9월 FOMC에서 연준이 빅컷(50bp)을 단행한 이후 조금씩 오르던 시장금리(미국채 10년 금리 기준)가 트럼프의 당선 가능성이 높아지자 10.21일자로 급등하면서 200일선인 4.1776%를 상회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른바 트럼프 텐트럼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 셈이다.일반적으로 금리가 200일 이동평균선을 넘어 섰다는 것은 본격적인 경기회복을 고려하기 시작했다는 의미로서 경제지표를 같이 살펴보되 추가 상승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https://sandol20.tistory.com/142 트럼프 텐트럼, 트럼플레이션, 트럼프리스크미국 대선 토론에서 트럼프가 우위를 보이는 모습을 나타내자..

카테고리 없음 2024.10.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