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융시장 이슈와 투자 52

한은 금통위, 3.25%로 25bp 기준금리 인하

한국은행은 10. 11일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우리의 예상대로 25bp인하 했다. https://sandol20.tistory.com/m/159 한국 10월 금통위 전망 및 주요 관심 사항한국 10월 금통위 전망오는 11일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는 ‘기준금리를 25bp 인하’를 조심스럽게 시행할 전망이다. 부동산 가격이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이sandol20.tistory.com10월 11일, 한국은행은 금융통화위원회 (이하 금통위)에서 2023년 1월 이후 1년 9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3.5%에서 3.25%로 25bp 인하하기로 결정했다. 통화정책방향문 (이하 통방문)에서는 물가상승률이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정부의 거시건전성정책 강화로 가계부채 증가세..

한국 10월 금통위 전망 및 주요 관심 사항

한국 10월 금통위 전망오는 11일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는 ‘기준금리를 25bp 인하’를 조심스럽게 시행할 전망이다. 부동산 가격이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이미 소비자물가가 2%를 밑돌기 시작했고, 국내 내수부문도 투자와 소비를 중심으로 침체 조짐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미국 연방준비제도도 이미 9월에 예상보다 강한 빅컷(50bp인하)으로 금리인하를 시작했기 때문에 대내외 금리차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자금이동의 급변을 제어해야 하기 때문이다.(참고) https://sandol20.tistory.com/154 한국 8월 금통위 프리뷰 및 주요 관심 사항8월 금통위 예상 8 월 금통위에서는 기준금리 동결을 예상하며 2008 년 이후 가장 긴 기간 동안 금리를 동결하..

미국 9월 FOMC 예상 및 주요 관심 사항

9월 FOMC 예상한국 시간으로 추석 연휴가 끝나는 9월 19일 새벽에 미국 FOMC 회의 결과가 발표된다. 고금리 등에 의해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고, 물가 흐름이 2% 중반대로 안정되고 있기 때문에 이번 회의 부터는 드디어 금리인하를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미국에서는 경기침체 우려까지 불거지며 연준의 통화정책에 대한 컨센서스가 매우 빠르게 변화 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급격하게 보강되고 있는 (달러)유동성(미국 MMF규모는 이미 6조 3000억 달러로 급증, 한국 GDP의 3배를 넘어서고 있음)과 양호한 실물경기 흐름으로 인해 기대 인플레이션이 빠르게 상승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위험에 대비해 연준은 분기 1회 정도(25bp)의 매우 느린 속도로 금리인하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약 달러와 캐리트레이드 자금의 회수 위험

미국 7월 고용부진과 BOJ의 금리인상이 촉발시킨 위험8월초에 있었던 글로벌 금융시장의 요동은 미국 7월 ISM제조업지수의 폭락과 부진한 고용보고서에 의해 촉발되었다. 그리고 충격이 배가되었던 것은 BOJ의 금리인상과 함께 촉발된 엔 캐리 트레이드 언와인드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초대형 폭풍은 일단 지나간 듯하다. 8월 7일 BOJ가 수습에 나서면서 엔화가 약세를 이어갔고, 엔 캐리 트레이드가 급격하게 추가 청산될 가능성은 줄어들었다. 하지만 월가에선 당분간 시장이 불안정할 수 있다는 관측이 많다. 9월 6일 8월 고용보고서 발표되고 연준이 9월 18일 FOMC에서 본격적으로 금리인하를 단행하기 전까지는 미국 경제 침체에 대한 우려가 이어질 것이고, 엔 캐리 트레이드 추가 청산도 다시 나타날 수 있기 ..

2023년 한국 피케티 지수 9.2배로 향후 반등 압력 증가

2023 한국 피케티 지수 현황2023년 한국 GDP기준으로 계산된 피케티 지수는 9.2배로 2021년 9.5배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2년 연속 다소 둔화 되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역사상 높은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고 심지어 2024년 이후 다시 반등할 가능성이 높아진 것으로 추정된다. 국민가처분소득 기준으로 계산된 피케티 지수도 크게 다르지 않게 2021년 11.8배를 기록한 이후 2022년 11.7배, 2023년 11.6배를 기록 했다.피케티지수는 기본적으로 '국민순자산/국민소득(또는 GDP)'비율로 구해진다. 피케티 지수의 기본적인 개념과 계산식에 대해서는 다음 글을 참고 하자.https://sandol20.tistory.com/49 2022년 한국 피케티지수 추계 및 시사점프랑스 경제..

한국 7월 금통위 결과 및 주요 시사점

7월 금통위, 기준금리 3.5%로 동결7월 11일에 열린 한국은행의 금융통화위원회 (이하 금통위)에서는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3.5%에 그대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지난 2023년 1월 기준금리를 인상한 이후 12회 연속 금리 동결이다. 한은에서 배포한 통화정책방향문서 (이하 통방문)에서는 물가 둔화 추세의 지속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고, 외환시장 변동성과 가계부채 증가 등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할 필요가 있는 만큼 긴축 기조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참고) 7월 금통위 예상 및 주요 관심 사항 더욱이 이번 금통위에서는 물가 둔화를 근거로 금리인하에 대한 소수의견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예상 외로 금리동결은 만장일치로 결정되었다. 한은 총재의 기자회견에서도 정책 전환은 인정했으나 시장의 과도한 ..

7월 금통위 예상 및 주요 관심 사항

7월 금통위, 기준금리 3.5% 동결 예상 7월 11일 한국은행은 금융통화위원회를 개최하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기준금리는 이번에도 3.5%로 동결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내수둔화와 물가 하락세가 다소 가팔라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환율과 유가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향후 물가의 잠재적 반등압력도 비교적 높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달러/원 환율이 1400원에 육발하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보다 선제적으로 금리인하를 하기에는 상당히 큰 부담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가계부채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집값도 다시 들썩일 수 있다는 점도 큰 부담요인이다. 향후 예상 및 주요 관심 사항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 2.4%, 근원물가는 2.2%로 한국은행의 물가안정 목표인 2.0%에 근접하고 있다..

미국 6월 FOMC PREVIEW 및 주요 관심 사항

6월 FOMC 프리뷰오는 13일(한국 시간 기준) 새벽 발표될 미국 FOMC에서는 Fed기준금리가 동결될 전망이다. 3~4월 고용 및 기업 지표들이 다소 부진한 모습을 나타냈기 때문에 조기 금리인하에 대한 관심이 커졌었으나, 지난 주에 발표된 5월 고용이 비농업고용자수 및 시간당임금상승률 등에서 시장 예상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기 때문에 연준은 사실상 다시 살아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판단해 다소간의 매피적 성향을 나타낼 가능성이 높다. 특히 이번 FOMC에서는 점도표 및 주요 경제지표의 전망치가 발표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금년 및 내년도 말의 점도표 중앙값 및 주요 경제전망치(SEP)가 지난 3월에 비해 얼마만큼 상향 조정될 지가 가장 큰 관심사항이 될 것이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주요 관심사항최근..

강 달러는 미 경제 침체와 주가 하락세로 연결될 수 있을까?

달러화와 MMF의 관계 코로나 팬테믹 직전 10여년 간 89.09에 머무르던 달러화 지수의 평균치가 팬데믹 이후 ‘22년 이후의 평균치는 103.7로 올라가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달러화는 이전에 비해 약 16% 절상된 채로 높은 수준에서의 움직임을 계속하고 있는 것이다. 과거에는 강달러 환경이 펼쳐지면 미국 기업들의 이익률이 저하되고 경제 불확실성이 커져 주가는 약세 압력을 받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었다. 하지만 팬데믹 이후에는 강달러가 장기화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상승하는 현상이 오랫동안 이어지고 있다. 이 같이 달러 강세가 장기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주가 상승세가 지속하고 있는데에는 미국경제의 생산이 높아졌고 미국경제 자체가 코로나 이후 금리상승에 크게 영향을 ..

한국 내수경기 정말 부진한가?

4월 수출입물가 및 교역조건 지난 주 발표된 4월 수출입물가를 보면, 국내 내수경기가 생각보다 나쁘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폭발적으로 반등할 가능성 마저 시사해 주고 있다. 주요 내용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2024년 4월 수출물가는 전년동월대비 6.2%상승(전월대비 4.1% 상승), 수입물가는 전년동월대비 2.9% 상승(전월대비 3.9% 상승) 2024년 4월 수출물량지수는 전년동월대비 9.8% 상승, 수입물량지수는 7.1% 상승 2024년 4월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전년동월대비 5.2% 상승, 소득교역조건지수는 15.4% 상승  우선 내수경기와 관계가 깊은 것이 ‘수입’부문인데, 수입물가가 3월의 -0.5에서 2.9%로 급반등했고 수입물량지수는 지난달의 -9.2%에서 7.1%로 급반전 했다. 수입..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