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금통위 preview
오는 2월 25일 개최될 한은 금통위에서는 기준금리를 2.75%로 25bp 인하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기에 대한 우려는 높으며, 1월 금리 동결의 원인이었던 환율도 여전히 높지만 1,440원 부근에서 상방 압력이 제한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만큼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실물경제 상으로는 수입증가율의 마이너스 폭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내수침체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의 관세 인상 정책 등으로 수출마저 둔화폭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주요 관심 사항
전반적인 한은의 스탠스는 다소 매파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은 한은이 1월 금리 동결에도 모든 금통위원들이 3개월 내 인하 가능성을 열어놓으면서도 단기적으로 환율의 상방압력 및 자본유출 가능성, 금융 불균형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금년 실물경기의 둔화 속도 등을 고려할 때 총 3차례씩 25bp 인하가 유력하나, 환율 상승압력 및 수입물가 상승 압력 등을 고려할 때 1~3분기 중 분기 당 1차례씩 인하하는 스탠스가 유력해 보인다. 물론 러-우 종전이 빨리 진행된다면 매파적인 성향이 강해지겠지만, 트럼프 리스크가 더 강해진다면 비둘기적 성향이 강해질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https://sandol20.tistory.com/178
1월 금융통화위원회 Review
기준금리 결정1웚금통위에서는 우리의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동결하여 3.0%를 유지했습니다. 전반적인 실물경기나 물가가 중립금리 수준으로 빠르게 향하고 있다며 추가 금리인하가 임박했음을
sandol20.tistory.com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40187
1월 금통위 적중률 30.43%…한은 금리 결정 잘 맞힌 기관은 - 연합인포맥스
이번달 한국은행이 금리를 동결한 가운데 전문가 셋 중 하나만 동결 결정을 맞힌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한국은행이 본격적으로 금리 인하에 나선 이후로는 유안타증권과 KB국민은행의 적중
news.einfomax.co.kr
'금융시장 이슈와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월 금융통화위원회 Review (1) | 2025.01.16 |
---|---|
'25년 1월 금통위, 이번에도 금리를 내릴 수 있을까? (0) | 2025.01.08 |
Financial Nomad의 ‘2025년 한국경제 전망’ (2) | 2024.12.28 |
미국 12월 FOMC결과 및 주요 관심 사항 (0) | 2024.12.19 |
미국 12월 FOMC preview (3) | 2024.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