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시장 이슈와 투자

'25년 1월 금통위, 이번에도 금리를 내릴 수 있을까?

주빌리20 2025. 1. 8. 21:40
반응형

https://youtu.be/PGa8eaY32tM

 

1월 금통위 예상

이미 지난해 10월과 11월 연속해서 두 번의 금리인하를 단행한 금통위가 25년 새해 첫번째 회의에서도 금리를 내릴 수 있을까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트럼프가 대통령으로 당선되고 국내에서 정치적 불안 및 사회적 참사가 발생하면서 국내 내수를 중심으로 실물경기가 빠르게 둔화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에도 금리를 내려야 한다는 의견과 외환시장이 불안하기 때문에 시장이 다소 안정될 수 있는 2월에 금리인하를 단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습니다. 두 의견 모두 타당한 측면이 있으나, 소규모 개방경제인 한국경제로서는 외환시장 충격이 더 크고 오랫동안 갈 수 있기 때문에 금리인하를 너무 서두르면 안 된다는 입장이 다소 우세하지 않나 생각됩니다. 따라서 이번 1월 16일 금통위에서는 금리동결이 더 유력하게 보입니다. 

https://www.bok.or.kr/portal/singl/baseRate/list.do?dataSeCd=01&menuNo=200643

| 한국은행 기준금리 추이(목록) | 통화정책방향 | 통화정책 | 정책/업무 |  한국은행 홈페이지

한국은행 기준금리 추이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년도별 %로 나타낸 그래프(자세한 내용은 아래 도표의 치수를 참조하세요. 주: 1)2008년 2월까지는 콜금리 목표 한국은행 기준금리 추이 변경일자 기

www.bok.or.kr

 

320x100

주요 관심사항

1) 1월 FOMC에서 미국의 정책금리는 어떻게 될 것으로 예상하십니까? 
-1월 FOMC 전망 :  동결
-이유 : 트럼프 당선 이후 미국경제의 상대적 호조와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는 양상이기 때문에 1분기 내내 금리인하를 쉬어갈 가능성이 있습니다.

2)올해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횟수는 몇 차례가 될 것으로 보십니까?
-한국 : 3회
-미국 : 3회
-이유 : 미국이 2~4분기 중 분기당 1회, 한국은 1~3분기 중 분기당 1회

3) 지난 12월 FOMC에서 연준이 기준금리 인하 속도 조절에 나서겠다고 밝힌 것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결정에 얼마나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고 계실까요?
-답변 : 트럼프 당선 이후 양국의 펀더멘털 및 인플레이션 압력의 격차가 커지고 있기 때문에 연준의 금리인하 기조는 한국의 금리인하 기조에 대해 과거 보다는 영향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4) 현재 한국은행 통화정책의 주요 변수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주요 예시는 트럼프 2기 경제정책, 국내 정치불안, 환율, 내수부진, 가계부채 증가, 미국의 금리인하 시점, 소비자물가, 경제성장률 하향조정 등이 있습니다.(복수응답 가능)
-주요 변수 :  트럼프2기 경제정책, 내수부진
-이유 및 전망 :  트럼프 정책이 국내 내수둔화를 심화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5)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지속적으로 하향조정되고 있는 가운데 경제 회복을 위해 시급히 이뤄져야 할 것들에 대한 고견 부탁드립니다.
-답변 :  섣부른 거시확대 정책보다는 정치안정 등 경제외적 요인들의 정상화가 시급하고 장기적 과제이지만 국내 구조적 불균형 및 노령화에 대응을 빨리 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

https://naver.me/GwplZyYt

[인포맥스 POLL] 1월 금통위 인하 71%…1·2월 연속 완화 의견도 - 연합인포맥스

거시경제·채권 전문가들은 이번 달(1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했다. 이달과 다음달(2월) 연속 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의견도 일부 나왔다.높아진 경기 하방 위험과

news.einfomax.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