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빡쎈 매크로 투자전략 강의/개별 경제지표와 금융의 연결 21

대외거래: ① 수출 증가율(rate of increase in export)

시장 민감도 : 매우 높음 의 의 : 국내의 상품이나 용역(서비스)을 외국으로 팔아 내보내는 것(수출)을 전년동월비 증가율 나타낸 것 발 표 : 산업통상자원부( http://www.motie.go.kr/), 관세청(http://www.customs.go.kr) 발표시기 : 매월초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전월의 속보치를 발표하며, 관세청에서 중순 경 확정치를 발표 빈 도 : 월간 수출증가율은 왜 중요한가? 1. 수출은 무역활동 중 한 나라 또는 한 지역에서 타국 또는 타지역에 상품을 판매하는 일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경제개발 초기부터 내수기반이 약하였기 때문에 수출이 성장에 가장 큰 기여를 하고 있는 지출항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소비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성장기여도로 보면 거의 매해..

정부지출(Government Spending): ① 통합재정수지

시장 민감도 : 높음 의 의 : 예산·기금 등을 포함한 재정전체의 수입과 지출의 차이로, 재정활동의 건전성과 경기대응효과 등을 판단하기 위한 지표 발 표 : 통계청 홈페이지( http://kosis.kr/) 발표시기 : 매월 통계청 홈페이지 등을 통해 발표 빈 도 : 월간 통합재정수지는 왜 중요한가? 1. 우리가 흔히 얘기하는 ‘재정’이란 정부 세입과 세출에 관련된 모든 경제활동을 말합니다. 정부는 공공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재원을 마련하고 그 돈으로 여러 가지 사업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활동을 통틀어 재정이라 부르는 것입니다. 2. 재정은 민간 경제활동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정부의 경제활동, 또는 공공경제(public economy)라고도 합니다. 정부는 재정지출을 통해 경기를 조절합니다. 시중에..

[Index9] 투자: ⑤ 주택매매가격지수

시장 민감도 : 높음의   의 : 국민은행에서 전국의 주택 매매 및 전세가격을 조사하여 일정시점(2008.12=100)을 기준 시점으로 지역별, 주택유형별, 주택재고 구성비를 가중치 값으로 부여하여 산출하는 지표  발   표 : 국민은행( http://www.kbstar.co.kr/)발표시기 : 매월 국민은행 또는 한국은행 등을 통하여 발표https://youtu.be/7l1llCRlVEA?si=AxPanzFIQR28_QjG 주택매매가격지수는 왜 중요한가? 1.주택매매가격지수란 국민은행에서 전국의 주택 매매 및 전세가격을 조사하여 일정시점(2008.12=100)을 기준 시점으로 한 라스파이레스산식을 적용하여 지역별, 주택유형별, 주택재고 구성비를 가중치 값으로 부여하여 산출하는 지표를 말합니다. 전국의 ..

[Index8] 투자: ④ 생산자제품재고지수

시장 민감도 : 보통의   의 : 광업 및 제조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제품재고(다만 원재료, 반제품, 재공품은 제외)의 변동을 파악하여 월말 재고수준을 지수화 하여 나타낸 것발   표 : 통계청 홈페이지( http://kosis.kr/)발표시기 : 매월 20일 경 지난달의 ‘산업활동 동향’ 자료를 통하여 발표빈   도 : 월간https://youtu.be/3BhLVXMpEbc?si=tteAs2GMGg_zYDj6 생산자제품재고지수는 왜 중요한가?1. 재고는 기업이 생산과정에서 보유하고 있는 원재료·반제품·완제품과 유통과정에서 보유하고 있는 상품의 일정기간 중의 양적인 변화를 말합니다. 한국은행에서 발표하는 GDP에는 재고증감이라는 항목으로 표현이 되고 있는데, 재고 역시 가치감소를 통해 최종산출에 기여하는 ..

[Index 7] 투자 ③ 기계수주와 금융시장

https://youtu.be/cGYd1GeKGkk시장 민감도 : 보통의   의 : 조사대상기간인 매월 1일부터 말일까지 해당 기계를 필요로 하여 주문받은 총 계약금액발   표 : 통계청 홈페이지( http://kosis.kr/)발표시기 : 매월 20일 경 지난달의 ‘산업활동 동향’ 자료를 통하여 발표빈   도 : 월간 기계수주는 왜 중요한가? 1. 기계수주동향은 매월 주요 설비용기계류 제조업체의 매월 수주액을 수요자 및 기계종류별로 조사하여 집계한 것으로 국내설비투자 동향을 조기에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설비투자의 선행지표입니다. 2.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공장)에서는 향후 경기가 좋아진다면 늘어날 수요에 미리 대비하기 위해 제품을 대량생산해야 하므로 제품을 만드는 기계가 먼저 필요할 것..

[index6] 투자: ②설비투자조정압력과 금융시장

시장 민감도 : 높음의   의 : '제조업 생산증가율(YoY,%)-제조업 생산능력증가율(YoY,%)'라는 식을 통해 산출되는 지표로서 설비투자의 선행지표로 많이 이용되고 있음발   표 : 통계청 홈페이지( http://kosis.kr/)를 통해 기본 데이터가 발표되고 있으나, 설비투자 조정압력은 직접 계산해야 함발표시기 : 매월 20일 경 지난달의 ‘산업활동 동향’ 자료를 이용하여 작성빈   도 : 월간https://youtu.be/GlPZ9sA5Ke0 설비투자 조정압력은 왜 중요한가? 1. 설비투자 조정압력(%p)은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산업활동 동향' 지표 중에서 '제조업 생산 증가율(%)과 제조업 생산능력 증가율(%)의[1] 차이를 통해 산출하는 가공적인 수치입니다. 이 값이 플러스(+)라는 것은 ..

[Index5] 투자: ① 설비투자와 금융시장

시장 민감도 : 높음의   의 : 월별 국내생산 및 수입분에서 수출, 소비, 중간수요 등을 차감하여 설비투자재의 투자 규모(불변금액)를 추정, 지수화발   표 : 통계청 홈페이지( http://kosis.kr/)발표시기 : 매월 20일 경 지난달의 ‘산업활동 동향’ 자료를 통해 발표빈   도 : 월간https://youtu.be/qFlhNHLgEEc?si=v_Jafh-YM9Cgdi_A 설비투자지수는 왜 중요한가? 1. 설비투자지수는 국내 설비투자 동향의 신속한 파악에 그 목적이 있다고 하겠습니다. 한국산업은행, 전경련 및 기업은행의 수요조사나 한국은행의 총고정자본형성에 대한 간접추계 등 기존의 설비투자 관련 지표들은 대표성이나 시의성이 부족하여 이용상에 제약이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 따라서 대표성과 시의..

[Index4] 소비: ④ 가계신용(Credit to Households)

시장 민감도 : 높음의   의 : 일반 가계가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빌린 돈이나 외상으로 물품을 구입하고 진 빚을 모두 합한 지표. 개인간의 거래인 사채(私債)는 제외됨발   표 : 한국은행 홈페이지(http://www.bok.or.kr/)발표시기 : 매 분기 종료 후 다음 다음 달 20일 경빈   도 : 분기https://youtu.be/LgAvC2a-uHY 가계신용은 왜 중요한가? 1. 경제학에서 신용(信用)은 거래한 재화의 대가를 앞으로 치를 수 있음을 보이는 능력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외상값, 빚, 급부 따위를 감당할 수 있는 지급 능력을 말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를 거시경제의 중요한 주체인 가계에 적용한 ‘가계신용’은 의미 그대로 가계가 진 빚의 규모로 이해하면 큰 무리가 없습니다. 2. 가계..

[index3] 소비: ③가계지출과 금융시장

시장 민감도 : 높음의   의 : 가계의 소득 중에서 직접세 등의 부분을 제외한 것을 식비, 피복비, 주거비, 광열비 등으로 분할하여 지출하는 것을 나타낸 지표발   표 : 통계청 홈페이지( http://kosis.kr/)발표시기 : 매 분기 종료 후 다음 다음 달 20일 경빈   도 : 분기https://youtu.be/vmBwqD2I4gE 가계지출은 왜 중요한가? 1. 가계지출은 ‘가계의 소득’ 중에서 직접세 등의 부분을 제외한 것을 식비, 피복비, 주거비, 광열비 등으로 분할하여 지출하는 것을 나타낸 지표입니다. 또한 가계지출은 8,700개의 표본가구를 대상으로 가구에서 가계부를 직접 기입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통계청의 분기별 가계동향에 포함되어 있는 지표입니다. 2. 가계지출은 국민소득 계정의 민간..

[index 2] 소비 ② 소매판매액 지수와 금융시장

시장 민감도 : 매우 높음의   의 : 개인 및 소비용 상품을 일반대중에게 판매하는 약 2,500개 표본 사업체(기업체)를 조사하여 지수 형태로 발표발   표 : 통계청 홈페이지( http://kosis.kr/)발표시기 : 매월 20일 경 지난달의 ‘산업활동 동향’ 자료를 통해 발표빈   도 : 월간https://youtu.be/myEIr-A8xOY 소매판매는 왜 중요한가? 1. 소매판매는 소매업분야의 판매동향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소비동향을 비교적 빨리 알 수 있게 만든 지표입니다.  2. 이 지표는 통계청에서 매월 발표하는 산업활동동향에 편제되어 있는데, GDP에 포함되어 있는 민간소비를 기업의 판매 데이터 안에서 미리 찾아 보는 것에 의의가 있다 하겠습니다.  3. 실제보다 1개월 늦게 발표되고 있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