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93

미국 7월 고용지표와 시장 충격에 대한 해석

미국 7월 고용동향비농업 고용자수는 +11.4만명으로 시장예상(17.5만명)을 큰 폭 하회하고 3개월 연속 둔화 실업률은 전월 4.1%에서 4.3%로 상승하여 실업률의 3개월 이동평균이 지난 12개월 동안의 최저치보다 최소 0.5%p상승할때 발동되는 SahmRule이 발동(국제금융센터 인용)인플레이션의 예고지표라고 할 수 있는 평균 시간당 임금은 전월비 기준 0.2% 상승하여 전월의 0.3%와 시장예상치 0.3%를 모두 하회, 전년동월비 기준으로는 3.6%를 기록하여 전월의 3.9%와 시장예상치 3.7%를 모두 하회고용률은 60.0%를 기록하여 전월의 60.1% 보다는 둔화되었으나, 아직까지는 100개월 평균치 59.6%는 상회금융시장 시사점전반적으로 이전까지의 고용이 워낙 좋았기 때문에 그렇지 고용이 ..

몽골 여행과 트레킹

더 없이 좋았던 몽골 트래킹 - 끝 없이 펼쳐지는 초원과 꽃들의 향연. 양귀비의 유혹이 마음을 더욱 설레게 한다. - 끝 없이 제공되는 양고기, 소고기, 말고기... 과일과 치킨, 돈육이 쪼매 그립기는 하다. - 무엇보다 한국은 27~35도가 평균인데, 몽골은 섭씨 15~23도가 평균기온. 습도가 낮아 더욱 좋다 - 요즘 기상이변으로 뇌우가 가끔 내리고 그때 마다 도로에 물이 넘치지만, 이곳이라도 이러한 어릴적 정취가 남아 있기를 기대하는 이방인의 엉뚱한 생각까지.. ㅎㅎ

여행과 경제 2024.08.03

몽골 경제 개요 및 특징

1. 몽골 경제 개요 몽골의 경제는 전통적으로 농업과 목축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은 2차대전 말까지 이렇다 할 변동 없이 계속되었으나 농업과 공업이 급속하게 발전하기 시작한 것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이다. 제1차 5개년계획(1948∼1952)에서는 전시 중의 가축 감소 회복이 도모되고, 이어서 제2차 5개년계획(1952∼1953)에서는 전시 중의 가축 감소 회복이 도모되고, 이어서 제2차 5개년계획(1953∼1957) 및 3개년계획(1958∼1960)에서 농목업의 집단화·공업화가 추진되었다. 이 기초 위에 1961년부터 제3차 5개년계획이 시작되었는데, 중·소대립(중소대립(中蘇對立))의 격화와 더불어 중국은 원조를 중지하는 한편, 몽골은 코메콘에 가입(1962)하여 소련·중앙유럽 여러 나라의..

여행과 경제 2024.07.29

머신러닝 개요, 지도학습: 선형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

선형회귀선형 회귀 분석은 모형이 선형이라고 가정하면 엄청난 양의 데이터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매우 인기 있는 도구입니다 ML에서는 상수 항을 바이어스, 계수를 가중치라고 합니다.선형회귀는 매개변수를 변경하여 함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모수에 대한 시작 값 선택 가장 가파른 기울기, 즉 목적 함수를 최대로 줄이기 위해 매개 변수를 변경해야 하는 방향을 찾습니다 가장 가파른 비탈길 방향으로 계곡을 따라 한 걸음씩 내려갑니다 2단계와 3단계를 반복합니다 계곡 바닥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합니다로지스틱 회귀로지스틱 회귀는 선형회귀분석의 출력을 범주형으로 제한한 회귀분석으로서 분류 문제에 적용한다.이진 분류 문제에 대해 입력 x가 주어졌을 때, 클래스 레이블이 1이 될 조건부 확률..

2023년 한국 피케티 지수 9.2배로 향후 반등 압력 증가

2023 한국 피케티 지수 현황2023년 한국 GDP기준으로 계산된 피케티 지수는 9.2배로 2021년 9.5배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2년 연속 다소 둔화 되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역사상 높은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고 심지어 2024년 이후 다시 반등할 가능성이 높아진 것으로 추정된다. 국민가처분소득 기준으로 계산된 피케티 지수도 크게 다르지 않게 2021년 11.8배를 기록한 이후 2022년 11.7배, 2023년 11.6배를 기록 했다.피케티지수는 기본적으로 '국민순자산/국민소득(또는 GDP)'비율로 구해진다. 피케티 지수의 기본적인 개념과 계산식에 대해서는 다음 글을 참고 하자.https://sandol20.tistory.com/49 2022년 한국 피케티지수 추계 및 시사점프랑스 경제..

머신러닝 개요,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이란?기계 학습의 일종으로, 컴퓨터가 입력값만 있는 훈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입력치들의 규칙성을 찾는 학습 방법입니다. 비지도 학습에서 우리(인간)는 아무것도 예측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대신 데이터를 클러스터링(군집화)하여 환경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것이 일차적인 목표입니다clustering customers(결합 또는 군집화 고객)당신이 은행이고 수십만 명의 고객과 각각의 특징을 설명하는 100개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은행은 비지도 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고객의 요구를 예측하고 고객과 보다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습니다. 결국 군집화는 데이터 집합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여 서로 교차하지 않는 복수 개의 부분집합(군집)으로 나누는 문..

한국 7월 금통위 결과 및 주요 시사점

7월 금통위, 기준금리 3.5%로 동결7월 11일에 열린 한국은행의 금융통화위원회 (이하 금통위)에서는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3.5%에 그대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지난 2023년 1월 기준금리를 인상한 이후 12회 연속 금리 동결이다. 한은에서 배포한 통화정책방향문서 (이하 통방문)에서는 물가 둔화 추세의 지속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고, 외환시장 변동성과 가계부채 증가 등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할 필요가 있는 만큼 긴축 기조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참고) 7월 금통위 예상 및 주요 관심 사항 더욱이 이번 금통위에서는 물가 둔화를 근거로 금리인하에 대한 소수의견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예상 외로 금리동결은 만장일치로 결정되었다. 한은 총재의 기자회견에서도 정책 전환은 인정했으나 시장의 과도한 ..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소개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이란 무엇인가?머신 러닝은 AI의 한 분야입니다 기계 학습의 기본이 되는 아이디어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많은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변수 간의 관계에 대해 학습하고 예측을 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기계 학습의 일부 기술은 195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컴퓨터 속도와 데이터 저장 비용의 향상으로 기계 학습은 이제 실용적인 도구가 되었습니다. 실용적인 도구로서 Python, R, MatLab, Spark 및 Julia와 같은 몇 가지 대안이 있습니다. 매우 큰 데이터 세트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과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패키지의 가용성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Python이 대세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컴퓨터는 많은 비즈니스 결정을 자동화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페..

7월 금통위 예상 및 주요 관심 사항

7월 금통위, 기준금리 3.5% 동결 예상 7월 11일 한국은행은 금융통화위원회를 개최하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기준금리는 이번에도 3.5%로 동결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내수둔화와 물가 하락세가 다소 가팔라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환율과 유가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향후 물가의 잠재적 반등압력도 비교적 높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달러/원 환율이 1400원에 육발하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보다 선제적으로 금리인하를 하기에는 상당히 큰 부담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가계부채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집값도 다시 들썩일 수 있다는 점도 큰 부담요인이다. 향후 예상 및 주요 관심 사항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 2.4%, 근원물가는 2.2%로 한국은행의 물가안정 목표인 2.0%에 근접하고 있다..

트럼프 텐트럼, 트럼플레이션, 트럼프리스크

미국 대선 토론에서 트럼프가 우위를 보이는 모습을 나타내자, 금융시장에서도 트럼프와 관련된 용어들이 쏟아지며 촉각을 세우고 있다. 사실 상 2016년 처음 대통령 선거 전후에도 돌출 깜짝 발언과 정책 등으로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트럼프 정책과 관련하여 금융시장에서 가장 많이 회자되고 있는 용어가 ‘트럼프 텐트럼’, ‘트럼플레이션’, ‘트럼프 리스크’ 등이다. 이들에 대해서 차례로 알아보고 재현 가능성 등을 잠시 생각해 보도록 하자. 트럼프 텐트럼주지 하다시피 이는 ‘트럼프’와 ‘테이퍼 텐트럼’의 합성어이다. 테이퍼 텐트럼(taper tantrum)은 원래 큰 경기를 앞두고 운동선수가 겪는 심리적인 불안을 표현하는 의학 용어 인데, 2013년 5월 그린스펀 전 미국 중앙은행(Fed)의장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