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91

[index3] 소비: ③가계지출과 금융시장

시장 민감도 : 높음의   의 : 가계의 소득 중에서 직접세 등의 부분을 제외한 것을 식비, 피복비, 주거비, 광열비 등으로 분할하여 지출하는 것을 나타낸 지표발   표 : 통계청 홈페이지( http://kosis.kr/)발표시기 : 매 분기 종료 후 다음 다음 달 20일 경빈   도 : 분기https://youtu.be/vmBwqD2I4gE 가계지출은 왜 중요한가? 1. 가계지출은 ‘가계의 소득’ 중에서 직접세 등의 부분을 제외한 것을 식비, 피복비, 주거비, 광열비 등으로 분할하여 지출하는 것을 나타낸 지표입니다. 또한 가계지출은 8,700개의 표본가구를 대상으로 가구에서 가계부를 직접 기입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통계청의 분기별 가계동향에 포함되어 있는 지표입니다. 2. 가계지출은 국민소득 계정의 민간..

[index 2] 소비 ② 소매판매액 지수와 금융시장

시장 민감도 : 매우 높음의   의 : 개인 및 소비용 상품을 일반대중에게 판매하는 약 2,500개 표본 사업체(기업체)를 조사하여 지수 형태로 발표발   표 : 통계청 홈페이지( http://kosis.kr/)발표시기 : 매월 20일 경 지난달의 ‘산업활동 동향’ 자료를 통해 발표빈   도 : 월간https://youtu.be/myEIr-A8xOY 소매판매는 왜 중요한가? 1. 소매판매는 소매업분야의 판매동향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소비동향을 비교적 빨리 알 수 있게 만든 지표입니다.  2. 이 지표는 통계청에서 매월 발표하는 산업활동동향에 편제되어 있는데, GDP에 포함되어 있는 민간소비를 기업의 판매 데이터 안에서 미리 찾아 보는 것에 의의가 있다 하겠습니다.  3. 실제보다 1개월 늦게 발표되고 있음..

What’s going on in this Chart?(May 11.2023) │US CPI

미국 4월 소비자물가 동향 미국 4월 CPI의 연간 상승률은 4.9%로 전월(5.0%)에 비해 하락했으며, 이는 2년래 최저를 기록한 것임. 전월대비 상승률(0.4%)은 전월(0.1%)에 비해 높은 수준. 한편 근원 CPI의 경우 연간 상승률은 전월 대비 하락(5.6%→5.5%)한 반면, 월간 상승률은 전월과 동일하게 나타남(0.4%→0.4%) 세부 항목(월간 기준) 가운데 휘발유(3.0%), 중고차(4.4%) 등의 상승률은 높은 반면 식품(0.0%), 전기(-0.7%), 교통 서비스(-0.2%) 등은 낮은 모습. 특히 인플레이션 압력 증가의 주요 원인 가운데 하나로 지목되는 주거비는 0.4% 올랐지만 전월(0.6%) 대비로는 상승세가 둔화 주요 매크로 요인 분석 금리인상의 효과가 어느 정도 가시화 되고..

(Index1) 소비 ① 소비자 동향지수(CSI ; Consumer Sentiment Index )와 금융시장

시장 민감도 : 높음의   의 : 소비자태도지수 또는 소비자 심리지수로 장래의 소비지출 계획이나 경기전망에 대한 소비자들의 설문조사 결과를 지수로 환산해 나타낸 지표발   표 : 한국은행 홈페이지(http://www.bok.or.kr/)발표시기 : 해당월의 수치를 매월 20일경에 발표빈   도 : 월간https://youtu.be/QBpGHsLhIpE?si=Rs8BYN1DDTXWoZDq CSI는 왜 중요한가? 1. CSI는 장래의 소비지출 계획이나 경기전망에 대한 소비자들의 설문조사 결과를 지수로 환산해 나타낸 지표입니다.[1]  2. 이 지수는 최저 0이고 최고 200인데, 예컨대 경기의 경우 0이면 앞으로 경기가 나아질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한명도 없다는 뜻이고 반대로 200이면 경기가 나빠질 것으..

달러 붕괴론, 아직은 섣부른 주장이지만 단기 ‘달러 약세’에는 베팅할 수 있는 시기

달러 붕괴론?쑹홍빙이 화폐전쟁에서 ‘달러의 종말’을 언급한 이후 글로벌 경제에 뒤숭숭한 이슈가 터질 때마다 달러체제의 붕괴를 주장하는 예측가들이 늘어나는 모습을 반복하고 있다. 달러 붕괴론은 사실상 전세계 유일의 기축통화인 미국 달러화가 미국 경제의 장기적 쇠퇴, 막대한 재정적자, 은행 위기가 겹치면서 기축통화 역할이 끝나가고 있다는 주장이다. 달러 붕괴론은 국제 금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갈아 치우면서 힘을 얻고 있다. 달러의 대안 통화로서 금이 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실제로 미국 달러화로 표기된 국제 금가격은 2020년 이후 3차례에 걸쳐 2,000달러(/Troy Ounce)를 넘어섰었는데, 대강의 요인들을 꼽아보면 다음과 같다..2020.8. 26. 2063$ 기록, 코로나 팬데믹 이..

(new)지표를 읽는 기술: ② 이제 경제지표를 ‘분석(analysis)’ 해야 한다

https://youtu.be/j_jU4ig1enQ?si=taBmsCBC1B5ax9bG  우리는 위에서 제시한 각양 각색의 경제지표를 통계발표 기관을 통해서 얻습니다. 이렇게 획득된 경제지표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사실상 경제지표를 가지고 ‘투자에의 응용’이라는 거대한 목표에 도전하기 위해서는 가장 기본적인 경제학 원리인 ‘수요와 공급의 법칙’ 뿐만 아니라 심오한 경제학 이론, 수학, 통계학, 물리학, 철학 등까지 모두 동원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여기서는 뒤편에서 제시되는 경제지표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 최소한으로 가지고 있어야 할 방법론만 간단히 언급하고자 합니다.  ①       경제지표(시계열)의 분해와 계절조정 일반적으로 어떤 양의 관측결과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계열로 정리한 것을 통계계열이..

What’s going on in this Chart?(April 19.2023) │US CDS premium

미국 CDS 프리미엄 동향 미국 CDS프리미엄(이하 CDS) 1년물은 2023년 연초 16bp였으나 최근 사상 최고 수준인 96bp로 급등(4/13일) 5년물 CDS도 26bp에서 47bp로 상승 US CDS프리미엄 급등의 원인 최근 부채한도 상향을 둘러싼 민주ㆍ공화 양당 협상의 교착상태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주요 기관들은 8월쯤 연방정부가 디폴트(채무불이행)에 빠질 수 있다고 전망. 즉 CDS급등의 1차적 원인은 부채한도 협상의 지연에 있다고 불 수 있음 거시적으로는 재정수지 적자폭이 다시 확대되고 있는 것이 또 하나의 요인. 최근 경제 불확실성 증가로 세수가 정체되고 있는 가운데, 바이든 정부의 재정지출 증가세는 지속. 연준의 계속된 금리인상이 상당부문 진행된 가운데 Sillicon Valley B..

What’s going on in this Chart?(April 14.2023) │US CPI & PPI

최근 미국 물가 동향 미국의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 5.0%(전월대비 0.1%)로 시장 예상(5.1%)을 하회하며 9개월 연속 둔화했으며, 근원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 5.6%(전월대비 0.4%, 예상부합)로 전월(5.5%)보다 확대(이하 전월대비) 3월 생산자물가(PPI)는 전월비 0.5% 하락하여 2월(0.0%) 대비 낮은 수준. 전년동월비 기준으로도 상승세 둔화(4.9%→2.7%). 근원 PPI 상승률 또한 전년동월비 및 전월비 기준으로 모두 상승세 약화(4.8%→3.4%, 0.2%→ -0.1%) 금융시장 영향 CPI의 하락에 이어 PPI가 크게 하락하며 연준의 금리인상은 5.0% 수준에서 종결될 가능성이 높아짐. 하지만 근원 소비자물가의 상승세가 완전히 꺾이지 않고 있고, ..

롤링 리세션(rolling recession: 순차 침체) 가능성과 이에 대한 대응

혼란스러운 경제지표와 해석 연초이후 최근까지 경기 혼란에 따른 다양한 시각이 난무하고 있다. 3~5년 이상을 보는 장기적 시각에서는 전 세계 모두 성장세가 둔화되는 경기침체 예상시각에 의견의 일치를 보고 있는 듯 하나, 올 한해의 흐름은 전문가 마다 또는 개별 금융시장 마다 다양한 전망 시각이 나오고 있다. 글로벌 경제의 리더라고 할 수 있는 미국을 보더라도 연초 경착륙(hard landing) 시각이 우세했으나, 최근 들어서는 연착륙(soft landing) 시각이 나오고 있다. 여기에 더해 아예 경기침체에 들어가지 않을 것이라는 노 랜딩(no landing) 시각 마저 조심스럽게 표출되고 있다. 물론 SVB사태 이후에는 경기침체 시각이다시 부각되고 있기도 하다. 한국에서도 내수와 수출의 엇 갈린 흐름..

What’s going on in this Chart?(April 11.2023) │US MMF Assets

최근 MMF 추이 및 변화 요인 지난해 하반기 미 연준의 금리인상 행보에 힘 입어 하락하던 미국 MMF(자산규모) 추이는 금년 SVB파산을 계기로 다시 급증하고 있다. ICI에 의하면 지난해 하반기 이후 금년 연초까지 MMF가 5.22조 달러에서 4.89조 달러로 다소 줄어 들었다. 하지만 SVB사태 이후 다시 MMF가 5.25조 달러로 급증했다 SVB사태 이후 연준의 금리인상에도 MMF가 급증한 것은 이 사태를 진정시키기 위해 연준 자산을 늘리는 등 이면에서는 실제로 유동성 공급 정책을 진행했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이유이다. MMF와 같은 과잉 유동성이 급증하며 미국채 10년 금리도 전저점을 하회하는 등 일종의 채권 오버슈팅이 진행되고 있다. 아직도 높은 물가 흐름이 진행되고 있고 위험자산 가격이 상승..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