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지표와 투자 30

한국 1월 수출 및 소비자물가의 주식 및 채권 함의

한국 1월 수출, 전년동월대비 18% 증가 1월 수출은 작년1월 저점에 따른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하여 전년동기대비18.0% 증가하였다. 수입은7.8% 감소하였다(전월각+5.0%, -10.8%). 무역수지는 3억달러흑자를 기록하며 작년6월 이후 8개월간 흑자규모 중 가장 작았다. 에너지 자원에서 원유 수입이 전년비6.0% 늘며, 수입이(543.9억달러) 수출과 근소한 차이였기 때문이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2.8억 달러로 전년비4개월 연속 증가하였다(+5.7%). 결과적으로 기저효과를 제외하더라도 수출이 증가하고 있다는 의미인데, 미국 경제 호전에 따른 긍정적 영향이 꾸준하고 높은 환율 수준이 가격 경쟁력을 제고시킨 측면이 있다. 아울러 지난해 계속해서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던 ‘중국 및 반..

2023 한국 부자 보고서 소개(2)

부자 보고서가 매년 여러 곳에서 발간되고 있지만, 여기서는 가장 많은 고객 데이터를 바탕으로 발간하고 있는 KB경영연구소의 보고서(요약본)를 2회에 걸쳐 소개하고자 합니다. 우리나라 돈의 흐름과 투자방향 등에 대해서 귀중한 감을 잡으시기 바랍니다. 2023 한국 부자 보고서(2) 한국 부자의 부(富)의 생애[1] 한국 부자는 코로나19 이후 총자산이 100억 원은 되어야 부자라고 생각했으며, 최근 근로소득으로 자산을 축적해 부자에 진입한 사례가 늘었다.부자들은 금융과 부동산 등을 포함한 총자산이 100억 원 이상은 되어야 부자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2020년 70억원이던 부자의 기준은 유동성 증가 및 자산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2021년 100억 원으로 높아진 이후 3년 연속 이를 유지하고 있다. 부자들이..

2023 한국 부자 보고서 소개(1)

부자 보고서가 매년 여러 곳에서 발간되고 있지만, 여기서는 가장 많은 고객 데이터를 바탕으로 발간하고 있는 KB경영연구소의 보고서(요약본)를 2~3회에 걸쳐 소개하고자 합니다. 우리나라 돈의 흐름과 투자방향 등에 대해서 귀중한 감을 잡으시기 바랍니다. 2023 한국 부자 보고서(1) 한국 부자현황[1] ‘한국 부자’는 2023년 45만 6천 명으로 전년 대비 7.5% 늘었고, 이 중 70.6%가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으며 수도권에서만 전년 대비 2만 3천 9백 명이 증가했다. 금융자산을 10억 원이상 보유한 개인인 ‘한국 부자’는 2023년 45만 6천 명으로, 2022년 42만 4천 명 대비 3만 2천명(7.5%) 증가했으며 전체 인구의 0.89%를 차지했다. 한국 부자의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서울에..

2022년 한국 피케티지수 추계 및 시사점

프랑스 경제학자 토마 피케티는 그의 저서 ‘21세기 자본’에서 사람이 일을 해서 돈을 버는 속도(노동 소득)보다 돈이 돈을 버는 속도(자본수익률)가 빠르기 때문에 자본주의가 발전할수록 빈부격차가 심해진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돈이 돈을 버는 속도를 한국은행의 순자산스톡(W)으로 나타내고, 사람이 일을 해서 돈을 버는 속도를 보통 GDP(또는 국민순소득, 국민가처분소득)로 대체할 수 있는데, 이 둘의 배율(=순자본/GDP)을 피케티의 베타 또는 단순하게 피케티 지수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자본소득은 노동소득에 비해 더 불평등하게 분포돼 있어 개인별로도 소득과 부의 분배가 모두 악화된다. 결국 이 비율이 높으면 한 사회에서 평균적인 소득을 올리는 사람이 평균적인 부를 쌓는데 그만큼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뜻으로..

경기 및 산업생산: ②경기동행지수

시장 민감도 : 높음 의 의 : 현재의 경기동향을 종합적으로 가장 잘 표현해 주는 지표 발 표 : 통계청 홈페이지( http://kosis.kr/) 발표시기 : 매월 20일 경 지난달의 ‘산업활동 동향’ 자료를 통해 발표 빈 도 : 월간 경기동행지수는 왜 중요한가? 1. 경기동행지수는 공급측면의 광공업생산지수, 취업자수 등과 수요측면의 내수출하지수 등과 같이 실제 경기순환과 함께 변동하는 개별지표를 가공ㆍ종합하여 만든 지수입니다. 동행종합지수 구성지표 1. 광공업생산지수, 2. 서비스업생산지수, 3. 소매판매액지수, 4. 내수출하액지수, 5. 건설기성액(불변), 6. 수입액(실질), 7. 비농림어업취업자수 2. 경기동행지수는 지수의 속성상 GDP증가율과 상관관계가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경기동행지수의 가..

What’s going on in this Chart?(July 03.2023) │Kr. trade balance

한국 6월 대외거래 및 무역수지 동향 ’23.6월 수출은 전년비 6.0% 감소한 542.4억 달러, 수입은 11.7% 감소한 531.1억 달러, 무역수지는 11.3억 달러 흑자를 기록 6월 수출은 반도체 업황 회복 지연, 작년 6월 수출이 역대 6月 기준 최고 실적(577억 달러)을 기록한 데 따른 逆기저효과 등으로 감소. 다만, 수출 감소율은 d올해 들어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수입은 원유(△28.6%), 가스(△0.3%), 석탄(△45.5%) 등 에너지(△27.3%) 수입이 감소함에 따라 11.7% 감소. 에너지 외 반도체, 철강 수입 등도 감소세를 지속무역수지는 올해 들어 개선세를 이어나가고 있으며, 6월에는 11억 달러 규모의 흑자를 기록하며 그간의 무역적자 흐름에서 벗어날 기미를 나타냄. 이는 ’..

What’s going on in this Chart?(May 11.2023) │US CPI

미국 4월 소비자물가 동향 미국 4월 CPI의 연간 상승률은 4.9%로 전월(5.0%)에 비해 하락했으며, 이는 2년래 최저를 기록한 것임. 전월대비 상승률(0.4%)은 전월(0.1%)에 비해 높은 수준. 한편 근원 CPI의 경우 연간 상승률은 전월 대비 하락(5.6%→5.5%)한 반면, 월간 상승률은 전월과 동일하게 나타남(0.4%→0.4%) 세부 항목(월간 기준) 가운데 휘발유(3.0%), 중고차(4.4%) 등의 상승률은 높은 반면 식품(0.0%), 전기(-0.7%), 교통 서비스(-0.2%) 등은 낮은 모습. 특히 인플레이션 압력 증가의 주요 원인 가운데 하나로 지목되는 주거비는 0.4% 올랐지만 전월(0.6%) 대비로는 상승세가 둔화 주요 매크로 요인 분석 금리인상의 효과가 어느 정도 가시화 되고..

What’s going on in this Chart?(April 19.2023) │US CDS premium

미국 CDS 프리미엄 동향 미국 CDS프리미엄(이하 CDS) 1년물은 2023년 연초 16bp였으나 최근 사상 최고 수준인 96bp로 급등(4/13일) 5년물 CDS도 26bp에서 47bp로 상승 US CDS프리미엄 급등의 원인 최근 부채한도 상향을 둘러싼 민주ㆍ공화 양당 협상의 교착상태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주요 기관들은 8월쯤 연방정부가 디폴트(채무불이행)에 빠질 수 있다고 전망. 즉 CDS급등의 1차적 원인은 부채한도 협상의 지연에 있다고 불 수 있음 거시적으로는 재정수지 적자폭이 다시 확대되고 있는 것이 또 하나의 요인. 최근 경제 불확실성 증가로 세수가 정체되고 있는 가운데, 바이든 정부의 재정지출 증가세는 지속. 연준의 계속된 금리인상이 상당부문 진행된 가운데 Sillicon Valley B..

What’s going on in this Chart?(April 14.2023) │US CPI & PPI

최근 미국 물가 동향 미국의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 5.0%(전월대비 0.1%)로 시장 예상(5.1%)을 하회하며 9개월 연속 둔화했으며, 근원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 5.6%(전월대비 0.4%, 예상부합)로 전월(5.5%)보다 확대(이하 전월대비) 3월 생산자물가(PPI)는 전월비 0.5% 하락하여 2월(0.0%) 대비 낮은 수준. 전년동월비 기준으로도 상승세 둔화(4.9%→2.7%). 근원 PPI 상승률 또한 전년동월비 및 전월비 기준으로 모두 상승세 약화(4.8%→3.4%, 0.2%→ -0.1%) 금융시장 영향 CPI의 하락에 이어 PPI가 크게 하락하며 연준의 금리인상은 5.0% 수준에서 종결될 가능성이 높아짐. 하지만 근원 소비자물가의 상승세가 완전히 꺾이지 않고 있고, ..

What’s going on in this Chart?(April 11.2023) │US MMF Assets

최근 MMF 추이 및 변화 요인 지난해 하반기 미 연준의 금리인상 행보에 힘 입어 하락하던 미국 MMF(자산규모) 추이는 금년 SVB파산을 계기로 다시 급증하고 있다. ICI에 의하면 지난해 하반기 이후 금년 연초까지 MMF가 5.22조 달러에서 4.89조 달러로 다소 줄어 들었다. 하지만 SVB사태 이후 다시 MMF가 5.25조 달러로 급증했다 SVB사태 이후 연준의 금리인상에도 MMF가 급증한 것은 이 사태를 진정시키기 위해 연준 자산을 늘리는 등 이면에서는 실제로 유동성 공급 정책을 진행했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이유이다. MMF와 같은 과잉 유동성이 급증하며 미국채 10년 금리도 전저점을 하회하는 등 일종의 채권 오버슈팅이 진행되고 있다. 아직도 높은 물가 흐름이 진행되고 있고 위험자산 가격이 상승..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