빡쎈 매크로 투자전략 강의/경제지표와 투자전략 종합

투자전략20. 금리정책 전후의 장단기 금리차에 주목하라

주빌리20 2023. 10. 6. 22:40
반응형

금리정책 전후의 장단기 금리차에 주목하라

  • 시장민감도 : 매우 높음
  • 사용 지표 : ① 한국은행 기준금리, ② 국고채10년물 금리, ③ 국고채3년물 금리
  • 데이터 출처 : 한국은행 ECOS(http://ecos.bok.or.kr)
  • 사용 빈도 : 일간, 주간 (큰 흐름의 변화가 있을 때 마다 포트폴리오 수정)
  • 전략 응용 : 주식 및 채권 투자전략, 위험자산과 안전자산의 비중 조절

 

 Macro Stratege

1. 금리정책은 중앙은행에서 금리를 인상 또는 인하하여 시중금리를 상하로 변동시켜서 간접적으로 통화공급량을 조절하려고 하는 대표적인 통화정책입니다. 따라서 금리정책에 가장 크게 그리고 빠르게 영향을 받는 것은 시중금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시중금리 중에서도 통화정책이 미치는 ‘영향의 강도’는 금리의 기간물 별로 다르게 나타나게 됩니다. 즉 단기물일 수록 금리정책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장기물일 수록 금리정책의 영향을 덜 받고 장기적인 경기기대 등에 영향을 받게 됩니다. 장단기 금리에 미치는 통화정책의 영향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마련된 도구가 수익률 곡선이라고 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장단기 금리만을 중심으로 언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3. 결과적으로 하나의 금리정책에 대해서도 장단기 금리의 반응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반응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놓은 것이 다음 표입니다.
 4. 표가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듯이 보이지만 몇 가지만 상기하면 해석에 큰 어려움은 없습니다. 우선 단기금리는 통화정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크게 받고 장기금리는 미래의 경기기대에 따라 움직이게 된다는 점을 이해 해야 합니다.
 5. 다음으로는 통화정책이 시행되었을 때 미래의 경기에 대한 기대가 어떻게 바뀌느냐가 관건입니다. 예를 들어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인상이 시행되었을 경우 그것이 실물경기흐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기대가 커지면 장기금리는 계속해서 상승하게 됩니다. 이때에는 장단기금리차는 확대되게 됩니다. 반대로 금리인상이 시행되었는데 그것이 과도한 긴축으로 받아들여지면 미래경기에 대한 비관적인 시각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장기금리는 하락하고 장단기 금리차는 축소되게 됩니다
 6. 금리인하가 단행되었을 경우에도 장단기금리차는 비슷한 이치로 움직이게 될 것입니다. 각자가 차분히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7. 아무튼 통화정책 당국이 금리를 조정한 이후에도 계속해서 포트폴리오를 조정해 갈 필요가 있습니다. 통화정책 이후 장단기 금리차가 확대될 경우에는 위험자산의 비중을 높이고 반대로 장단기 금리차가 축소될 경우에는 안전자산의 비중을 높이는 전략이 타당할 것입니다.

 [표] 장단기 금리스프레드를 통한 국면별 미래 경기 예측

320x100

Stratege Chart

그림 20 한은 기준금리 및 장단기 금리차

 

1. 그림20에서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와 장단기금리차(국고10년물 금리-국고3년물 금리)를 한 챠트에 그렸습니다. 2002년 이후 두 지표의 추이를 보면 이들은 상호 영향을 주고 받으며 변화해 간다는 사실을 찾을 수 있습니다.*(참고로 선진국에서는 대개 국채10년물과 2년물의 차이를 장단기금리차로 여기고 있습니다)
2. 특히 위 그림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곳을 중심으로 본다면 장단기금리차는 실제 통화정책에 비해 선제적으로 움직이고, 비교적 정확하게 통화정책의 추이를 예측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3. 따라서 우리가 재테크 전략을 수정할 때는 장단기 금리차의 유용성은 상당히 높은 것으로 판단되고 있습니다.  결국 우리는 ‘① 장단기 금리차에 따른 선제적 전략 수정 → ② 통화정책에 따른 전략 수정 또는 확정 → ③.통화정책 이후 장단기금리차에 의한 재수정’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 것입니다.

 

투자정석

  • 장단기 금리차 상승 → 경기회복 기대감 증가 → 위험선호도 증가 → 주식매수&채권매도
  • 장단기 금리차 하락 → 경기회복 기대감 하락 → 안전자산선호도 증가 → 주식매도&채권매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