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산업생산 3

투자전략37. 미국 '산업생산증가율+물가'가 상승하면 금리는 상승한다

미국 '산업생산증가율+물가'가 상승하면 금리는 상승한다 시장민감도 : 보통 사용 지표 : ① 미국 산업생산 ② 미국 소비자물가 ③ 미국 국채10년 금리 데이터 출처 : FRED(http://research.stlouisfed.org/) 사용 빈도 : 월간 (지표 발표시 마다 전략을 수정) 전략 응용 : 채권투자전략, 위험자산 및 안전자산의 비중 조정 Macro Stratege 1. 일반적으로 시장금리 수준은 실질성장률과 물가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미국에서의 금리흐름을 추적해 보면 실질성장률 대신 산업생산을 사용하여도 금리흐름의 방향성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2.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월간으로 발표되는 산업생산이 분기지표인 실질성장률의 대용치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산업생산이 증가한..

투자전략6. 실물투자 증가율로 경기변동을 파악하라

시장민감도 : 보통 사용 지표 : ① 설비투자지수(전년동월비), ② KOSPI 주가지수(전년동월비) 데이터 출처 : 통계청(http://kosis.kr), 한국은행 홈페이지 ECOS(http://ecos.bok.or.kr) 사용 빈도 : 월간 (투자지표 발표 시 마다 전략을 수정) 전략 응용 : 주식 투자전략 Macro Stratege 1. 거시경제학의 창시자라고 할 수 있는 J.M.케인즈는 '민간기업의 투자지출 변화에 의해 경기가 변동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투자는 기업가의 미래수익에 대한 기대를 반영하는데, 미래수익에 대한 기대는 기업가의 투자심리 혹은 야성적 충동(animal spirit)에 크게 의존하므로 매우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게 마련입니다. 2. 이렇게 불안정한 실물투자가 있기 때문에 전체 ..

경기 및 산업생산: ① 경기선행지수

시장 민감도 : 매우 높음 의 의 : 가까운 장래의 경기동향을 예측하는 지표로서 경기종합지수의 하나 발 표 : 통계청 홈페이지( http://kosis.kr/) 발표시기 : 매월 20일 경 지난달의 ‘산업활동 동향’ 자료를 통해 발표 빈 도 : 월간 경기선행지수는 왜 중요한가? 1. 경기란 한마디로 경제상황을 의미하는데, 현재와 미래의 경제상황에 대한 자료는 투자자나 정책당국자 혹은 일반 국민들에게 의사결정을 위한 매우 중요한 정보가 됩니다. 이러한 경기에 대한 판단 및 예측 자료에는 여러 경기 지표들이 있지만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경기종합지수가 있습니다. 2. 경기종합지수란 경기변동의 국면ㆍ전환점과 속도ㆍ진폭을 측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경기지표의 일종으로, 국민경제의 각 부문을 대표하고 경기를 잘 반영..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