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기침체 3

[최신 경제금융 용어] 감자튀김 추가율, LTC보험

감자튀김 추가율(fry attachment rate) 식당에서 감자튀김을 주문하는 비율로 감자튀김 수요를 통해 경기 침체 및 소비 강도를 예측할 수 있다는 개념에서 출발한다. 소비자들이 식당에서 식사와 함께 감자튀김을 주문하는 비율을 추적하는 이 지표는 불황기에 더 저렴한 식당이나 메뉴를 주문하는 것에서 착안한 지표이다. 팬데믹 이후 미국 경제 둔화와 소비 심리 악화에도 소비자들이 더 저렴한 레스토랑으로 이동하면서 감자튀김 주문 비율은 팬데믹 이전 수준보다 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물가가 높아질수록 소비자들이 감자튀김을 더 찾는다는 것이다. 실제 팬데믹 이후 감자튀김 판매량이 급증하면서 품절 대란까지 일으킨 바 있다. 감자튀김 판매량이 증가한 이유 중 하나는 감자 수확량이 감소한 것도 있지만, ..

투자전략9. 경기침체기로 부터의 탈출은 항상 정부지출이 돕고 있다

시장민감도 : 높음 사용 지표 : ① 정부지출증가율(전년동기비), ② GDP성장률(전년동기비) 데이터 출처 : 한국은행 홈페이지 ECOS(http://ecos.bok.or.kr) 사용 빈도 : 분기 (정부지출 관련지표 발표시 마다 전략을 수정) 전략 응용 : 주식, 채권, 외환 투자전략에 공통적으로 활용 Macro Stratege 1. 경기침체는 경기후퇴가 지나치게 진행되어 경기흐름 자체가 일반적인 경로에서 크게 벗어난 경우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한 나라의 경제가 침체에 빠졌다면, 침체에서 탈출하기 위해서 단기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정책적 방법을 찾게 됩니다. 그 정책적 방법 중에서 일반적인 정부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정부지출을 확대시키는 것입니다. 2. 정부지출을 늘리면 이는 즉각적으로 GDP항..

향후 우리가 마주할 경제위기는 어떠한 형태일까?

코로나 팬데믹 이후 2021~22년간 심각한 물가 폭등을 겪었고 전례가 없을 정도의 자산버블(부동산 가격 급등)을 경험한 한국경제가 2023년 이후에는 어떠한 형태로 굴러 갈까요? 대부분의 이코노미스트와 경제 석학들, 그리고 정책 당국자들은 한결같이 심각한 경기침체와 위기가 올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저 역시 이에 공감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어떠한 형태로 위기가 진행될까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고 다른 목소리들이 분출하고 있습니다. 위기의 형태에 따라 우리가 살아가고 일하는 방식이 달라져야 하는 엄정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신(god)이 아닌 이상 위기가 어떠한 형태로 전개될지 어떻게 알겠습니까? 지난해 말 JTBC에서 방영되었던 드라마 ’재벌집 막내아들’에서는 위기를 예단하고 투자에 성공하는 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