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지표와 투자

미국 7월 고용지표와 시장 충격에 대한 해석

주빌리20 2024. 8. 4. 17:46
반응형

미국 7월 고용동향

  • 비농업 고용자수는 +11.4만명으로 시장예상(17.5만명)을 큰 폭 하회하고 3개월 연속 둔화
  • 실업률은 전월 4.1%에서 4.3%로 상승하여 실업률의 3개월 이동평균이 지난 12개월 동안의 최저치보다 최소 0.5%p상승할때 발동되는 SahmRule이 발동(국제금융센터 인용)
  • 인플레이션의 예고지표라고 할 수 있는 평균 시간당 임금은 전월비 기준 0.2% 상승하여 전월의 0.3%와 시장예상치 0.3%를 모두 하회, 전년동월비 기준으로는 3.6%를 기록하여 전월의 3.9%와 시장예상치 3.7%를 모두 하회
  • 고용률은 60.0%를 기록하여 전월의 60.1% 보다는 둔화되었으나, 아직까지는 100개월 평균치 59.6%는 상회
블룸버그 화면에 캡쳐한 미국의 고용률
320x100

금융시장 시사점

전반적으로 이전까지의 고용이 워낙 좋았기 때문에 그렇지 고용이 전체적인 경기침체를 시사할 만큼 아주 부진한 상황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실업률이 치솟은 것은 지난달과 마찬가지로 노동시장 참가율이 높아진 데 따른 기술적 부분이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다만, 비농업 고용지표가 예상보다 저조(지난 12개월 동안의 평균 증가율은 21.5만개)하게 발표되고 임금상승률이 둔화되면서 연준이 금리인하를 실시할 가능성은 매우 높아졌다고 할 수 있다. 즉 금년 안에 인플레이션 둔화에 근거한 2~3차례의 금리인하를 실시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고, 그 시작은 9월 FOMC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최근 주식시장의 폭락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레버리지 론 가격이라든가 기업 신용스프레드가 비교적 견조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1번에 50bp이상의 금리인하는 단행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아직까지도 금리인하로 인해 유동성이 팽창하여 다시 인플레이션이 반등할 여지는 충분히 남아 있다고 볼 수 있다. 미국의 MMF규모가 7월 중순 이후 다소 줄어들었으나 아직까지는 6조 1340억 달러에 이르고 있기 때문에 시중 유동성은 충분하다고 볼 수 잇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의 주식시장을 중심으로 하는 시장 충격은 고용 등 실물경제의 침체 가능성을 반영하고 있다고 보기 보다는 코로나 이후 달러강세에 이은 글로벌 유동성의 미국 집중 현상에 근거한 자산시장의 거품이 어느 정도 걷혀 가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주식시장의 대세 하락을 기대하기 보다는 큰 폭 조정시 매수 전략 등이 좀 더 유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달러약세가 진행되는 동안은 미국 보다 비미국(NON-US)지역의 포퍼먼스가 좀 더 우위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