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증가율 2

(new) 경제지표를 종류별로 나누어 보자

https://youtu.be/HYfbsJDS3q0?si=AuiXytGm3wVK16mJ투자를 위해 우리가 흔히 접하는 경제지표는 대략 4가지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있습니다. 각각의 경제지표가 어느 범주에 속하고 어떠한 특성을 갖고 있는지를 선험적으로 알아 둔다면, 우리가 목표로 하고 있는 경제지표의 ‘이해와 해석’ 및 ‘투자에의 응용’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①  금액 및 지수로 표시되는 경제지표 가공되지 않고 조사된 그대로 발표되는 대부분의 원시적인 지표들이 이 범주에 속하기 때문에, 이 자체만을 가지고는 경제활동의 움직임이나 변화를 파악하기가 힘듭니다. 하지만 규모를 파악하거나 장기적인 추세를 보고자 할 때 이 범주의 지표를 그대로 사용하면 유용할 경우가 많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발표된 지..

(new)지표를 읽는 기술: ② 이제 경제지표를 ‘분석(analysis)’ 해야 한다

https://youtu.be/j_jU4ig1enQ?si=taBmsCBC1B5ax9bG  우리는 위에서 제시한 각양 각색의 경제지표를 통계발표 기관을 통해서 얻습니다. 이렇게 획득된 경제지표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사실상 경제지표를 가지고 ‘투자에의 응용’이라는 거대한 목표에 도전하기 위해서는 가장 기본적인 경제학 원리인 ‘수요와 공급의 법칙’ 뿐만 아니라 심오한 경제학 이론, 수학, 통계학, 물리학, 철학 등까지 모두 동원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여기서는 뒤편에서 제시되는 경제지표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 최소한으로 가지고 있어야 할 방법론만 간단히 언급하고자 합니다.  ①       경제지표(시계열)의 분해와 계절조정 일반적으로 어떤 양의 관측결과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계열로 정리한 것을 통계계열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