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국우선주의 2

트럼프 당선(레드 스윕)과 경제 및 금융시장 영향

미국 트럼프의 압승, 의회도 공화당의 승리 유력11월 5일과 6일 치러진 미국 47대 대통령 선거에서 박빙으로 예상된 것과는 다르게 공화당의 트럼프 후보가 압승했다. 트럼프 후보는 7일 오전까지 선거인단 538석 중 298석을 확보하여 사실상 대통령에 당선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의회 선거에서도 상원은 공화당이 52석을 확보하여 민주당 44석을 앞섰으며, 하원에서도 공화당이 206석을 확보하여 민주당 191석에 15석 우위이다. 하원은 아직 과반 의석인 218석을 확보하지 못했지만 미 주요 언론에서는 공화당의 승리 가능성을 90%로 보고 있다. 2016년 이후 8년 만에 공화당이 대통령, 상원, 하원을 모두 휩쓰는 레드 스윕이 유력하다. 거시경제, 더 강력해질 트럼프와 공화당의 정책, 성장률과 물가상승률 ..

트럼프 텐트럼, 트럼플레이션, 트럼프리스크

미국 대선 토론에서 트럼프가 우위를 보이는 모습을 나타내자, 금융시장에서도 트럼프와 관련된 용어들이 쏟아지며 촉각을 세우고 있다. 사실 상 2016년 처음 대통령 선거 전후에도 돌출 깜짝 발언과 정책 등으로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트럼프 정책과 관련하여 금융시장에서 가장 많이 회자되고 있는 용어가 ‘트럼프 텐트럼’, ‘트럼플레이션’, ‘트럼프 리스크’ 등이다. 이들에 대해서 차례로 알아보고 재현 가능성 등을 잠시 생각해 보도록 하자. 트럼프 텐트럼주지 하다시피 이는 ‘트럼프’와 ‘테이퍼 텐트럼’의 합성어이다. 테이퍼 텐트럼(taper tantrum)은 원래 큰 경기를 앞두고 운동선수가 겪는 심리적인 불안을 표현하는 의학 용어 인데, 2013년 5월 그린스펀 전 미국 중앙은행(Fed)의장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