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리차 2

투자전략3. GDP성장률의 상대강도가 환율의 방향성을 결정한다

시장민감도 : 높음사용 지표 : ① 한국 실질GDP성장률(전년동기비), ② 미국 실질GDP성장률(전년동기비), ③ 원/달러 환율데이터 출처 : 한국은행 홈페이지 ECOS(http://ecos.bok.or.kr), FRED[1]사용 빈도 : 분기 (분기별 GDP발표시 마다 전략을 수정)전략 응용 : 외환(환율)투자전략 Macro Stratege 1. 환율은 기본적으로 ‘자기 나라 돈과 다른 나라 돈의 교환 비율’로 정의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자기 나라 통화 가치와 다른 나라 통화 가치의 비율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쓰는 ‘원/달러 환율’은 대한민국 통화인 원화가치와 미국 통화인 달러가치의 비율입니다. 2. 자고로 한 나라의 통화가치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서 ..

7월 금통위 전망 및 주요 요인 점검

6월 소비자물가가 2.7%(전년동월비) 까지 둔화 되는 등 상반기 국내 물가가 빠르게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하반기 들어 미국을 중심으로 물가 재 상승 압력이 나타나고 있고 주요국 실물경기가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다음주에 있을 한국 금융통화위원회에서는 기준금리를 동결하여 3.5%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미국에서 하반기 2차례 정도 추가 금리인상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데 환율이 크기 폭등하지 않는 한 국내에서는 한미 금리차와 상관없이 동결 기조를 이어 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분기점이 될 만한 환율 수준을 1350원 정도로 보는데 환율역시 금리차 확대에도 불구하고 무역수지 흑자 전환 등으로 조금씩 하방 압력이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 금리 인하는 기본적으로 연준이 내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