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리인하시점 지연 2

다시 시작되고 있는 미국 달러 유동성의 역습

미 유동성 증가세 재 확대 높은 정책금리 수준과 이에 따른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미국 달러 유동성이 늘어나고 있다. 코로나 이후 천문학적으로 늘린 유동성이 잠깐 동안의 마이너스 증가세를 보인 이후 다시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의 증가세는 지난해 12월 ‘빠른 금리인하 기대감’에 의해 시장금리가 빠르게 하락하면서 유동성 증가세가 다시 시작되고 있는 양상이다. 달러 유동성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다음 팩트를 통해서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미 M2 잔액 기준: ‘23년 10월말 20,600(십억달러), 12월 말 20,975 십억달러, ’24. 20,959십억 달러 MMF 잔액: ’23. 10. 16일 5607십억달러, ’24. 2. 7일 6017십억 달러 실물경제가 예상 보다 호조를 보이며 시중에 돈에..

10월 금통위 전망 및 주요 관심사항 정리

다음주 10월 19일(목) 개최되는 금통위를 앞두고 몇가지 Q&A를 통해 10월 금통위 및 향후 한국과 미국의 통화정책 기조에 대해 조망해 보았습니다. 시장 현황과 경제 흐름을 파악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Q1) 이달(10월) 금통위와 다음 금통위(11월) 기준금리 결정이 어떻게 될 것이라고 보십니까?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 10월 금통위 전망 : 동결 - 11월 금통위 전망 : 동결 - 이유 : 실물경기(동행지수)가 비교적 빨리 꺾여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환율 및 유가 상승을 동반한 수입물가 상승압력과 공공요금 상승요인이 다시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인상 요인과 인하 요인이 혼재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직접적으로 금리를 움직일 만한 시기는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지난해와 같..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