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강세 2

최근 한국 경상수지 흑자 확대가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최근 경상수지 추이 및 주요 요인 코로나 팬데믹 직후 지속된 경상수지 흑자 축소 또는 적자 문제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조금씩 개선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 경상수지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무역수지(≒상품수지)는 이미 ‘19년부터 마이너스 조짐을 보이다 지난해 1월 적자폭이 최고조에 이르다 개선되기 시작했다. 급기야는 금년 1월부터 12개월 누적치 기준으로 플러스(흑자)를 기록하기 시작했다. 물론 전체 경상수지 흑자 규모도 눈높이만 조금 다를 뿐 이러한 기조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부응하여 한국은행도 지난 번 금통위 경제전망에서 금년 경상수지 흑자폭을 기존의 490억 달러에서 520억 달러 흑자로 상향 조정했다. ‘25년 경상수지 흑자폭도 ‘24년 보다 높은 590억 달러로 예상..

'24. 2월 수출입 동향 및 금융시장 함의

2월 수출입 및 무역수지 중국경기의 부진 및 엔화 약세라는 커다란 악재가 장기화되고 있는 경향이지만, 한국 2월 대외 무역지표 중 수출과 무역수지는 양호한 회복세를 지속하였다. ’24.2 월 수출은 +4.8% 524.1억 달러, 수입은 -13.1% 감소한 481.1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무역수지는 +42.9 억 달러를 기록해 9개월 연속 흑자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세부적으로 살표 보면 다음과 같다. 수출: 설 연휴・중국 춘절에도 불구하고 5개월 연속 수출 증가세를 나타냈다. +4.8%라는 수치는 전월의 18%보다는 둔화된 것이지만, 시장 컨센서스 (1.8%) 보다는 개선된 모습이다. 미국 경기의 개선, 정책적 지원 등이 계속적으로 긍정적으로 작용한 모습이고, 장기간 수출의 발목을 잡던 양대 축인 반도체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