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내수침체 2

'25년 1월 금통위, 이번에도 금리를 내릴 수 있을까?

https://youtu.be/PGa8eaY32tM 1월 금통위 예상이미 지난해 10월과 11월 연속해서 두 번의 금리인하를 단행한 금통위가 25년 새해 첫번째 회의에서도 금리를 내릴 수 있을까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트럼프가 대통령으로 당선되고 국내에서 정치적 불안 및 사회적 참사가 발생하면서 국내 내수를 중심으로 실물경기가 빠르게 둔화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에도 금리를 내려야 한다는 의견과 외환시장이 불안하기 때문에 시장이 다소 안정될 수 있는 2월에 금리인하를 단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습니다. 두 의견 모두 타당한 측면이 있으나, 소규모 개방경제인 한국경제로서는 외환시장 충격이 더 크고 오랫동안 갈 수 있기 때문에 금리인하를 너무 서두르면 안 된다는 입장이 다..

2월 금통위 결과 및 향후 전망

금통위 결과 및 전망기조 22일 열린 2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는 만장일치로 동결 되었다(3.5%). 이전 금통위와 가장 달라진 점은 금통위원 중 6명의 위원은 3개월 후에도 3.5% 유지가 적절하다고 판단한 반면, 1명은 3개월내 금리인하 가능성을 열어 두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소수의견 출현). 한국은행 경제전망은 큰 틀에서는 기존 전망치가 유지되었으나 민간소비와 근원물가 전망치가 하향 조정되는 등 세부 내용에서 변화가 있었다. '24년 GDP전망 2.1%, CPI전망2.6% (상반기2.9%, 하반기2.3%)전망 성장률에서는 민간소비 전망 하향(1.9%→1.6%), 수출전망은 상향 근원물가상승률은 기존 2.3%에서 2.2%로 하향 조정(상반기2.4%, 하반기2.0%) ☞ 소수의견은 내수부진과 이와 연관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