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리급등 2

이른바 2016년 트럼프 텐트럼의 재현인가?

빅컷 이후 미국채 금리 급등 2016년과 비슷한 트럼프 텐트럼이 재현되고 있는 것인가? 9월 FOMC에서 연준이 빅컷(50bp)을 단행한 이후 조금씩 오르던 시장금리(미국채 10년 금리 기준)가 트럼프의 당선 가능성이 높아지자 10.21일자로 급등하면서 200일선인 4.1776%를 상회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른바 트럼프 텐트럼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 셈이다.일반적으로 금리가 200일 이동평균선을 넘어 섰다는 것은 본격적인 경기회복을 고려하기 시작했다는 의미로서 경제지표를 같이 살펴보되 추가 상승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https://sandol20.tistory.com/142 트럼프 텐트럼, 트럼플레이션, 트럼프리스크미국 대선 토론에서 트럼프가 우위를 보이는 모습을 나타내자..

카테고리 없음 2024.10.22

미국 역레포(reverse repo) 감소와 시장의 공포

미국 역레포 감소와 시장의 공포 미국 역레포 규모 추이 2024년 연초 들어 미국 연준의 역레포 규모가 다시 급감하면서 다시 한번 글로벌 금융시장에 공포감을 심어 주고 있다. 미국 역레포 규모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QE규모를 확대하며 2022년 12월 2.5조달러로 급증한 이후 연준이 긴축(금리인상, QT)으로 선회하며 감소하기 시작했다. 최근 추이를 다시 보면 지난해 12월 초 6.8천억 달러로 감소했다가 연말 연준의 피봇 기대감으로 1조 달러대로 반등했다. 연초 들어 다시 급감하여 1월 16일 현재 5.8천억 달러에 달하고 있다.(그림1 참조)[그림1] 미 역REPO규모 추이 역레포 의의 및 목적역환매조건부채권매입계약(역환매) 프로그램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를 비롯한 중앙은행이 금융 시스템의 유..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