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소비자물가 3

투자전략22. 과도한 물가상승은 긴축을 자극하여 선행지수의 하락을 유발한다

더보기 과도한 물가상승은 긴축을 자극하여 선행지수의 하락을 유발한다 시장민감도 : 높음 사용 지표 : ① 소비자물가(전년동월비) ② 경기선행지수(전년동월비), ③ 한국은행 기준금리 데이터 출처 : 통계청(http://kosis.kr), 한국은행 ECOS(http://ecos.bok.or.kr) 사용 빈도 : 월간 (월간 지표 발표시 마다 전략을 수정) 전략 응용 : 안전자산 및 위험자산의 비중 조정 Macro Stratege 1. 경기회복 초기에는 물가와 경기가 동행하는 흐름을 보이기 마련이지만 물가수준이 부담스러운 영역까지 올라가면 경기 흐름이 꺾이기 시작합니다. 이에 대한 사항은 앞에서 설명한 투자젼략21에서도 어느 정도 언급이 되어 있습니다. 2. 하지만 경기흐름이 꺾이는 데에 더욱 직접적인 역할을..

고용 및 물가: ④ 소비자물가(CPI)

시장 민감도 : 매우 높음 의 의 : 소비자가 구매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나타내는 지수 발 표 : 통계청 홈페이지( http://kosis.kr/) 발표시기 : 매월 초 지난달의 ‘소비자물가 동향’ 자료를 통해 발표 빈 도 : 월간 소비자물가는 왜 중요한가? 1. 물가란 한 국가의 국민들이 생활해 나가는 데 필요한 모든 소비재 및 생산재에 대한 전반적인 가격수준을 나타낸 지표입니다. 물가지수는 이러한 물가의 움직임을 종합적으로 알아볼 수 있도록 기준시점을 100으로 놓고 비교시점의 물가수준을 상대적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2. 소비자의 구매가격을 나타내는 소비자물가지수는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입니다. 일상 소비생활에 필요한 상품 및 서비스를 구입하기 위해..

What’s going on in this Chart?(May 11.2023) │US CPI

미국 4월 소비자물가 동향 미국 4월 CPI의 연간 상승률은 4.9%로 전월(5.0%)에 비해 하락했으며, 이는 2년래 최저를 기록한 것임. 전월대비 상승률(0.4%)은 전월(0.1%)에 비해 높은 수준. 한편 근원 CPI의 경우 연간 상승률은 전월 대비 하락(5.6%→5.5%)한 반면, 월간 상승률은 전월과 동일하게 나타남(0.4%→0.4%) 세부 항목(월간 기준) 가운데 휘발유(3.0%), 중고차(4.4%) 등의 상승률은 높은 반면 식품(0.0%), 전기(-0.7%), 교통 서비스(-0.2%) 등은 낮은 모습. 특히 인플레이션 압력 증가의 주요 원인 가운데 하나로 지목되는 주거비는 0.4% 올랐지만 전월(0.6%) 대비로는 상승세가 둔화 주요 매크로 요인 분석 금리인상의 효과가 어느 정도 가시화 되고..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