빡쎈 매크로 투자전략 강의/경제지표와 투자전략 종합

투자전략32. Credit Spread=설비투자조정압력

주빌리20 2023. 11. 25. 18:58
반응형

 Credit Spread=설비투자조정압력

 

  • 시장민감도 : 높음
  • 사용 지표 : ① 제조업생산 증가율 ② 제조업생산능력, ③ 회사채AA-(3년 금리), ④ 국고채3년 금리
  • 데이터 출처 : 통계청(http://kosis.kr), 한국은행 ECOS(http://ecos.bok.or.kr)
  • 사용 빈도 : 월간 (월간 지표 발표시 마다 전략을 수정)
  • 전략 응용 : 주식투자 시 업종선택 또는 회사채투자전략에 응용

 

Macro Stratege

1. 신용스프레드(credit spread)는 회사채 금리와 국고채 금리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신용스프레드가 상승한다는 것은 해당기업이 금융시장에서 자금을 빌리기가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을 뜻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금융투자협회 등에서 회사채 금리를 발표하고 있지만 채권시장의 여건상 해당 기업의 신용위험을 정확히 반영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신용스프레드의 대용지표를 많이 찾게 됩니다.

2. 신용스프레드를 대용할 수 있는 지표 중에 설비투자 조정압력이 있습니다. 원래 설비투자 조정압력(%p)은 제조업 생산 증가율(%) - 제조업 생산능력 증가율(%)로 계산되는데, 이 값이 +라는 것은 향후 설비투자확대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고 반대로 이 값이 이면 설비투자를 줄여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3. 설비투자 조정압력이라는 개념을 나라 전체의 입장에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는데, 전체 국가경제의 입장에서 설비투자압력은 공장의 개수와 동일한 이해될 수 있습니다. 신용위험이 높으면 공장을 지을 수 있는 여력이 적어지게 되는 것이므로 설비투자 조정압력은 낮아지게 됩니다. 또한 신용위험이 낮으면 그 기업은 공장을 지을 수 있는 여력이 높아지게 되됩니다. 이른바 설비투자 조정압력과 신용위험 간에는 밀접한 역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입니다.

320x100

 4.  설비투자압력이 높아진다는 것은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므로 신용스프레드가 하락하게 되고, 설비투자압력이 낮아진다는 것은 공장이 줄어들고 기업의 도산이 많아질 확률이 높아지는 것이므로 신용스프레드가 상승하게 되는 것입니다.

 5. 일반적으로 경기순환 측면에서 경기조정의 최종단계는 '도산의 급증'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와 같이 신용스프레드가 실제적인 신용위험을 잘 반영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설비투자 조정압력 지표를 투자판단의 대용지표로 삼는 것이 유리하다 할 것입니다.

 6. 따라서 자신이 향후 투자할 회사채를 고르거나 주식투자시 업종을 선택하는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면, 설비투자 조정압력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은 업종을 고르면 되는 것입니다.

 

Stratege Chart

그림 32 한국 설비투자 조정압력과 신용스프레드 추이

1. 그림32에서는 우리나라의 설비투자 조정압력과 신용스프레드를 2000년부터 한 챠트에 그렸습니다. 신용스프레드는 우축(여기서는 축을 반대로 그렸습니다)을 기준으로 볼 때 밑으로 내려가면 신용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을 뚯하고, 반대로 위로 올라가면 신용위험이 감소한다는 것을 뜻합니다.

 2. 우리나라 회사채 금리가 발행 회사의 신용상황을 잘 나타내 주는 것은 아닙니다.  결과적으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에는 이 두 지표간의 역 상관관계가 어느 정도 성립했는데, 그 이후에는 그러한 관계가 잘 나타나고 있지 않습니다. 정책당국이 경제충격을 극복하기 위해서 시장에 개입하고 기업의 구조조정 과정에 국가가 개입한다거나 하면 두 지표간의 관계가 잘 맞아 돌아가지는 않을 것입니다.

 3. 하지만 앞서 언급한대로 설비투자조정압력 지표를 산업별로 그려서 신용위험을 분별하기위한 대용지표로 삼는다면 투자수익률 제고에 상당히 큰 기여를 할 것입니다.

 

투자정석

  • 설비투자조정압력 상승 → 신용위험 하락 → 해당 주식 매수 → 해당 회사채 매수
  • 설비투자조정압력 하락 → 신용위험 상승 → 해당 주식 매도 → 해당 회사채 매도

 

반응형